97세 행복경제학 창시자가 들려주는 행복의 참의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리처드 이스털린 교수 강의 엮은 신간 '지적 행복론'
"사람들은 물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이 많을수록 갖고 싶은 것도 함께 많아진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합니다.
가정생활과 건강을 희생시켜서 불행해지는 상황이 실제로 발생하면서, 돈이 많으면 더 행복해질 것이라는 기대는 환상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행복경제학자인 리처드 이스털린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경제학과 명예교수가 전하는 역설이다.
이스털린 교수는 "소득이 일정 수준에 이른 다음에는 더 이상 행복이 커지지 않는다"는 '이스털린의 역설'로 학계를 뒤흔들었다.
1974년 발표와 동시에 경제학의 방향을 바꾼 그의 이론은 '소득과 행복'의 관계를 말할 때 자주 인용된다.
경제학 최초로 사람들의 감정과 목소리에 집중한 행복경제학의 창시자인 이스털린 교수는 97세라는 고령이 믿어지지 않을 만큼 커다란 울림을 다시 한번 안겨주는 저서로 우리 곁에 찾아왔다.
최근 몇 년간 학교에서 진행한 행복경제학 강의를 바탕으로 한 신간 '지적 행복론'은 내면의 행복에 관한 질문들에 대해 그 해답을 촘촘하면서도 다정하게 들려준다.
이스털린의 역설이 경제학계를 뒤흔들 당시, 기존 경제학은 소득이 행복에 절대적이라는 믿음이 지배하고 있었다.
GDP(국내총생산)를 절대신처럼 신봉하며 경제 성장만 지속된다면 사람들이 행복해지리라 믿어 의심치 않았다.
그런데 50여 년 후인 지금의 세상은 어떨까? 우리나라의 경우 GDP 세계 10위를 차지했지만 국민행복지수는 59위로 '부유하나 행복하지 않은 나라'가 됐다.
짧은 시간 동안 눈부신 경제 성장을 이뤘음에도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우울증 1위, 자살률 1위의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행복해지기 위해 돈을 버는데, 막상 돈을 벌어도 공허함을 떨칠 수 없다.
저자는 복지 정책부터 환경오염, 종교, 자원봉사, 정치체제에 이르기까지 행복에 영향을 끼치는 영역들을 두루 살피고, 현실적이면서도 정곡을 찌르는 학생들의 질문에 '행복의 진짜 모습'을 찾아가는 방법을 일러준다.
부자가 돼야만 행복해진다는 편견을 버린다면, 행복으로 향하는 문이 활짝 열린다는 것이다.
"소득을 높이는 것과 다르게 건강을 증진하는 것은 윈-윈 상황입니다.
모두가 자신의 소득을 높이려고 한다면 준거 기준도 함께 높아지기에 어느 누구도 예전보다 더 행복해지지 않을 겁니다.
이에 반해 운동을 해서 건강을 증진하고 과거의 개인적 경험에 바탕을 둔 준거 기준이 변치 않는다면 모두가 예전보다 더 행복해지겠지요.
"
이번 책은 행복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거쳐 '행복혁명'이라는 개념도 새롭게 제시한다.
역사적 맥락에서 볼 때 산업혁명, 인구혁명에 이어 행복혁명을 맞이할 것이라는 얘기다.
개인은 건강과 가정생활을 개선하는 데 힘쓰고, 국가는 복지 정책을 펼치고 사회안전망을 확충하는 데 총력을 가해야 한다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부유한 국가는 경제 성장이 아니라 고용과 사회안전망 정책 덕분에 더 행복한 것이지요.
그리고 경제 성장은 이런 정책의 전제 조건이 아닙니다.
정부는 소득 수준이 비교적 낮을 때도 이런 정책을 도입할 수 있지요.
고소득 국가는 부유한 동시에 행복 수준이 높은데, 이는 과학적 지식의 각각 다른 영역, 즉 물질적 부와 복지 국가 정책으로 인도하는 영역 모두에서 앞서 나갔기 때문입니다.
"
안세민 옮김. 윌북. 308쪽. 1만7천800원. /연합뉴스
"사람들은 물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이 많을수록 갖고 싶은 것도 함께 많아진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합니다.
가정생활과 건강을 희생시켜서 불행해지는 상황이 실제로 발생하면서, 돈이 많으면 더 행복해질 것이라는 기대는 환상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행복경제학자인 리처드 이스털린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경제학과 명예교수가 전하는 역설이다.
이스털린 교수는 "소득이 일정 수준에 이른 다음에는 더 이상 행복이 커지지 않는다"는 '이스털린의 역설'로 학계를 뒤흔들었다.
1974년 발표와 동시에 경제학의 방향을 바꾼 그의 이론은 '소득과 행복'의 관계를 말할 때 자주 인용된다.
경제학 최초로 사람들의 감정과 목소리에 집중한 행복경제학의 창시자인 이스털린 교수는 97세라는 고령이 믿어지지 않을 만큼 커다란 울림을 다시 한번 안겨주는 저서로 우리 곁에 찾아왔다.
최근 몇 년간 학교에서 진행한 행복경제학 강의를 바탕으로 한 신간 '지적 행복론'은 내면의 행복에 관한 질문들에 대해 그 해답을 촘촘하면서도 다정하게 들려준다.
이스털린의 역설이 경제학계를 뒤흔들 당시, 기존 경제학은 소득이 행복에 절대적이라는 믿음이 지배하고 있었다.
GDP(국내총생산)를 절대신처럼 신봉하며 경제 성장만 지속된다면 사람들이 행복해지리라 믿어 의심치 않았다.
그런데 50여 년 후인 지금의 세상은 어떨까? 우리나라의 경우 GDP 세계 10위를 차지했지만 국민행복지수는 59위로 '부유하나 행복하지 않은 나라'가 됐다.
짧은 시간 동안 눈부신 경제 성장을 이뤘음에도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우울증 1위, 자살률 1위의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행복해지기 위해 돈을 버는데, 막상 돈을 벌어도 공허함을 떨칠 수 없다.
저자는 복지 정책부터 환경오염, 종교, 자원봉사, 정치체제에 이르기까지 행복에 영향을 끼치는 영역들을 두루 살피고, 현실적이면서도 정곡을 찌르는 학생들의 질문에 '행복의 진짜 모습'을 찾아가는 방법을 일러준다.
부자가 돼야만 행복해진다는 편견을 버린다면, 행복으로 향하는 문이 활짝 열린다는 것이다.
"소득을 높이는 것과 다르게 건강을 증진하는 것은 윈-윈 상황입니다.
모두가 자신의 소득을 높이려고 한다면 준거 기준도 함께 높아지기에 어느 누구도 예전보다 더 행복해지지 않을 겁니다.
이에 반해 운동을 해서 건강을 증진하고 과거의 개인적 경험에 바탕을 둔 준거 기준이 변치 않는다면 모두가 예전보다 더 행복해지겠지요.
"
이번 책은 행복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거쳐 '행복혁명'이라는 개념도 새롭게 제시한다.
역사적 맥락에서 볼 때 산업혁명, 인구혁명에 이어 행복혁명을 맞이할 것이라는 얘기다.
개인은 건강과 가정생활을 개선하는 데 힘쓰고, 국가는 복지 정책을 펼치고 사회안전망을 확충하는 데 총력을 가해야 한다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부유한 국가는 경제 성장이 아니라 고용과 사회안전망 정책 덕분에 더 행복한 것이지요.
그리고 경제 성장은 이런 정책의 전제 조건이 아닙니다.
정부는 소득 수준이 비교적 낮을 때도 이런 정책을 도입할 수 있지요.
고소득 국가는 부유한 동시에 행복 수준이 높은데, 이는 과학적 지식의 각각 다른 영역, 즉 물질적 부와 복지 국가 정책으로 인도하는 영역 모두에서 앞서 나갔기 때문입니다.
"
안세민 옮김. 윌북. 308쪽. 1만7천800원.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