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 '나선' 주제로 설치작품 전시…7년만에 수상 여부 주목 세계 최대·최고 권위의 미술 축제인 베네치아비엔날레 국제미술전이 20일(현지시간) 사전공개를 시작으로 오는 11월 22일까지 7개월간의 대장정에 들어갔다.
1895년 시작돼 올해로 59회째인 베네치아비엔날레는 역사와 전통, 영향력 면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최고의 비엔날레로 꼽힌다.
베네치아비엔날레는 전통적으로 홀수 해에 미술전이, 짝수 해에는 건축전이 열린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2020년 예정된 건축전이 2021년으로 연기되면서 미술전 역시 짝수 해 개최로 변경됐다.
햇수로는 2019년 이후 3년 만이다.
올해도 총감독이 직접 기획한 본전시와 국가관 전시를 통해 개성 있고 독창적인 현대 미술의 정수를 펼쳐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뉴욕 하이라인 파크 아트 수석 큐레이터인 이탈리아 출신 체칠리아 알레마니(45) 총감독이 제시한 본전시 주제는 '꿈의 우유'(The Milk of Dreams)다.
상상의 세계에 사는 동물 이미지를 그린 초현실주의 여성화가 리어노라 캐링턴(1917∼2011)의 책 제목에서 따온 것이다.
▲ 신체의 변형 ▲ 개인과 기술의 관계 ▲ 신체와 지구의 연결 등 세 가지 주제에 초점을 맞춘 본전시에는 58개국 작가 213명이 초청됐다.
이 가운데 180명이 베네치아비엔날레에 처음 명함을 내미는 신규 참여 작가다.
전체 명단의 90%가 여성으로 채워지는 등 '여풍' 현상도 두드러졌다.
한국 작가로는 행위예술가 정금형(42), 설치작가 이미래(34) 등 두 명이 본전시 초청장을 받았다.
모두 국내외 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여성 작가들이다.
대학에서 연극영화와 무용을 전공한 정 작가는 직접 수집한 인체 모형과 각종 기구·도구 등에 자신의 관심사와 욕망을 투영하는 작업으로 주목받아왔다.
또 이 작가는 정형화된 형식·틀을 거부하고 독특하고 비균질적인 시각적 미학을 시도한 설치 작품으로 이름을 알렸다.
베네치아비엔날레에서만 볼 수 있는 현대 미술 경연장인 국가관 전시도 미술 애호가들의 관심을 끈다.
각국 커미셔너가 자체적으로 선정한 대표 작가를 내세워 자국 예술의 매력을 마음껏 뽐내는 자리다.
올해는 사상 처음으로 참가국 명단에 이름을 올린 카메룬, 나미비아, 네팔, 오만, 우간다 등을 포함해 총 81개국이 전시를 선보인다.
이영철(65) 예술감독과 미디어 아티스트 김윤철(52) 작가가 함께 꾸민 한국관은 '나선'(Gyre)을 주제로 잡았다.
한국관 커미셔너인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 부푼 태양 ▲ 신경 ▲ 거대한 바깥이라는 세 가지 세부 주제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의 혼란스러운 상황과 미래사회의 부푼 경계'를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김 작가는 마치 살아 움직이는 것 같은 설치 작품을 통해 사물·자연·인간이 공존하는 세계를 재조명한다.
김 작가는 지난 3월 기자간담회에서 "생과 사의 무한한 순환 속에서 세계와 물질은 끊임없이 소용돌이친다"며 "기본적으로 계속 유동하고 흐르는 것, 변화하는 것, 에너지에 대한 생각을 많이 했다"고 밝힌 바 있다.
비엔날레 주최 측은 공식 개막일인 23일 최고 영예인 황금사자상 국가관상·최고작가상, 본전시에 초대된 35세 이하 젊은 작가를 대상으로 하는 은사자상, 특별상 등을 시상한다.
2015년 본전시에 참여한 임흥순(53) 작가가 한국 작가로는 사상 최초로 은사자상을 받은 이래 또 한 번 수상의 쾌거를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된다.
비엔날레 기간에 맞춰 한국 미술을 대표하는 화백들도 베네치아로 총출동한다.
단색화의 거장 박서보(91)·하종현(87)과 한국 실험 미술 선구자로 꼽히는 이건용(80), 전통 한지 조형물로 주목받는 전광영(77) 등이 베네치아 물길을 낀 고택 '팔라초' 등에서 개인전을 한다.
하종현·전광영 개인전은 비엔날레 주최 측의 공식 승인을 받은 병행 전시로 진행된다.
이밖에 광주비엔날레가 기획한 5·18민주화운동 특별전도 현지 관람객들의 시선을 끌 것으로 보인다.
국내·외 작가 11명이 참여한 이번 전시는 5·18의 아픔을 딛고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미래 지향적인 담론을 시각화했다고 광주비엔날레 측은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