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 연구기관 비상임이사에 지원…이력에 박근혜 캠프 '국민행복추진위' 기재
정호영, 낙동강생물자원관 임원도…30개월간 월100만원 보수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경북대병원 진료처장(부원장)과 병원장으로 재직할 당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임원(비상임이사)으로 약 30개월간 활동하면서 매월 약 100만 원의 수당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병원 경영을 책임지는 최고위직 인사로 재직하면서 직무 연관성이 낮은 공공기관 임원직에 지원해 수년간 활동한 것이다.

20일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의원실이 정 후보자 인사청문요청안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제출 자료를 확인한 결과 정 후보자는 2015년 10월부터 2018년 4월까지 해당 기관 비상임이사로 재직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2015년 7월 낙동강 유역 생물자원의 연구·관리를 목적으로 경북 상주에 설립됐다.

당시 경북대병원 진료처장이었던 정 후보자는 비상임이사에 지원하며 10페이지에 달하는 지원서와 자기소개서, 직무수행계획서를 제출했다.

선발 절차는 지원서를 접수한 자원관에서 2배수를 추천했고 환경부 장관이 임명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는 게 의원실 설명이다.

정 후보자는 자기소개서에서 "저는 이 분야를 전공한 전문가는 아니다"라면서도 의대 교수로서 대학과 연계된 생물자원 연구 네트워크 구축에 평소 관심을 가져온 터라 비상임이사에 지원했다고 동기를 밝혔다.

이어 "병원 조직 경영의 풍부한 경험과 지역 사회에 기반을 둔 넓은 인적 네트워크는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자기소개서를 고려하더라도 위암 수술 전문가인 정 후보자가 생물자원 관련 기관 임원에 지원한 것이 언뜻 이해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원 당시 정 후보자는 새마을금고 이사장직과 대구시 의료관광협의체 위원장도 맡고 있었다.

이후 2017년 8월 병원장에 취임하고도 8개월간 더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비상임이사로 활동했다.

그는 자소서에서 4대강 사업과 관련, "수자원 확보에만 집중된 국가정책이 가져 온 수질과 수생태계의 희생"을 지적하기도 했다.

정 후보자는 지원서에 '국민행복추진위원회' 이력을 기재해 눈길을 끈다.

국민행복추진위원회는 2012년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 캠프로 그는 산하 '편안한 삶 추진단'에서 활동한 것으로 적었다.

당시 환경부장관도 공교롭게도 국민행복추진위원회 출신이었으나 그는 정 후보자와 안면이 없다고 밝혔다.

정 후보자 측은 연합뉴스에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비상임이사 역임과 관련, "환경부 요청에 따른 것"이라면서 "이사회 구성상 의사가 필요해 넣은 것 같다.

공익적인 자리이니 수락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