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포켓몬빵을 사려는 사람들이 몰리면서 연일 '오픈런'이 펼쳐지고 있는 서울의 한 대형마트입니다.

마트 개점까지는 1시간이나 남았는데요.

지금 제 옆에는 포켓몬빵을 사려는 소비자들이 길게 늘어섰습니다.



[김윤정 / 서울 청파동: 몇 시부터 기다리신 거예요? 저는 (아침) 7시 반 정도에 와서…]

개점 30분 전이 되자 마트 직원이 나와 입장 순번표를 나눠줍니다.

이날 마트에 들어온 빵은 총 159개.

인당 3개씩 구매 제한이 있어, 54번째로 줄을 선 한 시민은 아쉬운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

이른 시간부터 자녀를 위해 줄을 선 한 학부모는 원하는 종류의 빵을 선점할 수 있었습니다.



[김정실 / 서울 효창동: 구하게 돼서 너무 기분이 좋아요. 아이들이 활짝 웃는 것을 생각하면 제 마음이 좋죠.]

SPC삼립이 지난 2월 말 포켓몬빵을 재출시한지 55일 만에 1,400만 개가 팔려나갔습니다.

인기 비결은 빵에 동봉된 포켓몬 스티커 '띠부띠부씰'.

초기 포켓몬빵 품절 대란은 2030 소비자들의 레트로 열풍이 주도했습니다.

당시 인기였던 1세대 포켓몬 캐릭터를 띠부씰로 활용했고, 이름과 제품의 맛도 그대로 재현해 2030 세대의 향수를 자극했습니다.

[이영애 / 인천대 소비자학과 교수: 향수 효과(레트로 이펙트) 이런 것들이죠. 예전에 어렸을 때는 되게 편하고 좋았을 때잖아요. 그런데 지금은 상대적으로 대외적으로도 어렵고 해가지고 그러다보니까…]



학창 시절보다 높아진 구매력에 마음껏 사들이는 사람들이 늘어나자 포켓몬빵 품귀 현상까지 빚으며 이제는 '한정판'이라는 수식어를 달게 됐습니다.

이 때문에 요즘 아이들에게도 제품의 인기는 어른 못지 않습니다.

[하정혁 / 12세: 포켓몬빵 좋아해요? 네! 구하기 힘들어서 띠부씰 모으는 재미도 있고…계속 편의점 돌아다니면서 하다 보니까 구했어요. (구했을 때) 되게 좋았어요.]

[김레지나 / 13세: (친구들 사이에서) 되게 유행이에요. 카톡 프로필사진에 친구들이 포켓몬빵 사진을 다 올려놓고 자랑하고 있더라고요.]

10대가 주이용자인 틱톡의 ‘포켓몬빵’과 ‘띠부띠부씰’ 해시태그 조회수는 각각 1억 9,900만 회, 5,100만 회에 달합니다.



[허경옥 / 성신여대 소비자생활문화산업학 교수: 득템, 어려운 걸 성취함으로써, 남들도 어려운데 내가 사는데서 오는 희열감 때문에 더 유행하는 것 같아요. 유행? 한번 쫓아가고 싶은 심리? '밴드웨건 효과'가 가장 클거라고 봅니다.]

한 번 유행을 타면 '너도나도 식'으로 퍼져나가는 현상과 함께 저렴한 가격으로 희소성을 누릴 수 있다는 점이 아이들의 성취심리를 자극한 겁니다.

이달 초 새롭게 출시된 포켓몬빵 시즌2 냉장 디저트류는 더욱 구하기 힘들다고 알려지면서 선점 경쟁이 더욱 과열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예원입니다.


김예원기자 yen88@wowtv.co.kr
"아침 8시 와도 못사"...호빵보다 더 뜨거운 포켓몬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