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서울시장 후보 선출 방식을 두고 대혼란에 빠졌다. 전략공천관리위원회가 지난 19일 송영길 전 대표와 박주민 의원의 공천배제(컷오프)를 결정하고, 비상대책위원회에 추인을 요청하면서다. 당내에선 기존 주류이던 친문(친문재인)계와 대선을 거치며 부상한 이재명 상임고문 간의 주도권 싸움이 서울시장 후보 관련 논쟁으로 표면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윤호중 비대위원장은 20일 기자들을 만나 “공천배제의 최종 결정 권한은 비대위에 있다”며 “모든 경우의 수를 동원해 종합적으로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이날 두 차례에 걸쳐 전략공관위가 전날 제출한 송 전 대표와 박 의원의 컷오프 안건을 심사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당내에선 송 전 대표의 경선 배제를 두고 격론이 펼쳐졌다. 그간 송 전 대표의 출마에 부정적 입장을 견지하던 박지현 공동비대위원장은 컷오프에는 반대한다는 뜻을 밝혔다. 박 위원장은 “대선 때 헌신한 전 대표를 탈락시키겠다고 한다”며 “경선을 하지 않겠다는 것은 패배 선언과 다를 바 없다”고 밝혔다. 이에 컷오프 결정의 당사자인 이원욱 전략공관위원장은 “이번 결정은 박 비대위원장이 그간 지적했던 명분 없는 출마가 가져올 부작용을 고려한 것”이라고 받아쳤다.

민주당 내에서는 ‘송영길 컷오프’ 논란을 사실상 친문계와 이재명계의 대리전으로 봐야 한다는 해석도 나온다. 결정을 사실상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윤 비대위원장은 친문·이해찬계 출신으로, 문재인 정부 기간에 민주당 원내대표와 사무총장 등을 지낸 핵심 의원이다.

반면 송 전 대표는 이 고문의 지원을 받아 출마했음을 공개적으로 선언한 바 있다. 송 전 대표는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자신의 공천배제는) 사실상 이 고문의 정치 복귀를 반대하는 선제타격의 의미가 있다”고 주장했다.

정치권에서는 민주당이 결국 송 전 대표를 컷오프하지 않고,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등을 후보군에 추가해 경선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송 전 대표의 컷오프에 대한 지지자들 반발이 거세고, 전략공천 후보로 꼽혔던 이낙연 전 대표가 거부 의사를 드러내면서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전범진 기자 forwar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