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여성에 불평등하다"…20대 남녀 간 인식 차 뚜렷
'여성폭력 심각' 동의 비율 85.7%…5년전보다 오히려 증가 20대 중 '한국 사회가 여성들에게 불평등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여성 73%, 남성 29%로 성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성평등한 인식을 보였으나, 양성평등 수준에 대한 젊은 층의 남녀 간 인식차는 눈에 띄게 컸다.
한국사회의 전통적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 완화되는 추세였지만, 돌봄 부담은 여전히 여성에게 몰리고 있었다.
여성가족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1년 양성평등 실태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양성평등 실태조사는 양성평등기본법에 따라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 등 중장기 정책 수립을 위해 5년마다 실시하는 국가승인통계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해 9∼10월 전국 4천490가구의 만 15세 이상 모든 가구원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응답자는 총 8천358명이다. ◇ "가족 생계 남성이 책임져야"…5년새 12.2% 포인트 감소
조사 결과 '가족의 생계는 주로 남성이 책임져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는 응답자 비율은 2016년 42.1%에서 지난해 29.9%로 낮아졌다.
'직장생활을 하더라도 자녀에 대한 주된 책임은 여성에게 있다'는 인식도 같은 기간 53.8%에서 17.4%로 큰 폭으로 하락했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성평등한 인식을 하고 있었다.
'가족의 생계는 주로 남성이 책임져야 한다'에 대한 동의 비율은 60세 이상에서는 남성 47.5%·여성 40.0%이었지만, 20대에서는 남성 17.5%·여성 9.6%로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 밑에서 일하는 것은 불편하다'에 동의하는 응답자의 비율은 60세 이상에서는 남성 44.6%·여성 46.4%였으나 20대에서는 남성 9.0% 여성 4.4%였다.
이와 관련해 여성부는 기성세대가 갖고 있던 성 고정관념이 청년층에서 완화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성별 직종에 대한 고정관념도 완화됐다.
'직업군인, 경찰과 같이 남성이 다수 종사하는 직업은 여성에게 적합하지 않다'에 동의하는 비율은 2016년 44.7%에서 지난해 18.3%로 낮아졌다. ◇ 여성 65.4%, 남성 41.4% "한국사회, 여성에게 불평등"
한국 사회가 전반적으로 남녀에게 불평등한지를 묻는 항목에 여성의 65.4%, 남성의 41.4%가 '여성에게 불평등하다'고 답했다.
또 여성의 6.7%, 남성의 17.0%는 '남성에게 불평등하다'고 답했다.
'남녀 평등하다'는 응답자의 비율은 2016년 21.0%에서 지난해 34.7%로 증가했다.
'여성에게 불평등하다'는 응답자 비율은 62.6%에서 53.4%로, '남성에게 불평등하다'는 응답자 비율은 16.4%에서 11.8%로 감소했다.
성별·연령대별로는 '여성에게 불평등하다'는 인식이 20대 여성(73.4%)과 30대 여성(76.8%)에서는 70%를 웃돌았다.
하지만 20대 남성(29.2%)과 30대 남성(40.7%)은 10명 중 3∼4명만 이에 동의했다.
'남성에게 불평등하다'는 인식은 20대 남성(24.0%)에서 가장 높았다.
다만 20대 남성 중 이런 답변을 한 비율은 5년 전보다 11.4%포인트 낮아졌다.
또 '여성에게 불평등하다'는 데 대한 20대 여성의 동의 비율은 5년 전보다 8.5%포인트 낮아졌다.
마경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양성평등 수준에 대한 체감도 차이에 대해 "20대 초반의 남성들이 제일 남성에게 불평등하다고 생각하는 지점이 군대"라며 "남성들은 20대 초반에 군대를 가야 하고, 여성들은 대학 졸업 후 취업을 하려 하는 그 시점에 딱 걸려 있는 문제"라고 설명했다.
최문선 여가부 여성정책과장은 "최근의 경제적 어려움, 취업이나 주택 마련의 어려움이 남성에게만 요구되는 사회적 역할과 복합적으로 작용을 해서 성평등 문제를 조금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며 "청년들이 느끼는 주거·일자리 안정 관련한 애로사항에 대해서 국가가 적극적으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분석했다. ◇ 가사·돌봄 분담 문화 확산에도 응답자 69% "아내가 주로 전담"
부부간 가사·돌봄 분담과 관련해 전체 응답자의 68.9%가 '전적으로 또는 주로 아내가 한다'고 답했다.
맞벌이의 경우에도 10명 중 6명 이상(여성 65.5%·남성 59.1%)이 이런 답변을 했다.
20대(여성 45.3%·남성 40.6%)와 30대(여성 32.2%·남성 36.7%)에서는 가사와 돌봄을 부부가 반씩 나눠서 한다는 응답자 비율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자녀에 대한 돌봄의 일차적 책임이 여성에게 있다'는 문항에 대한 동의 비율은 2016년 53.8%에서 지난해 17.4%로 크게 줄었다.
하지만 돌봄 부담은 여전히 여성에게 과중하고, 코로나19로 인해 이런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고 여가부는 분석했다.
맞벌이 가정의 하루 중 돌봄 시간은 남성 0.7시간, 여성 1.4시간으로 나타났다.
12세 이하 아동이 있는 경우 여성이 평일 돌봄에 할애하는 시간은 3.7시간으로 남성(1.2시간)의 약 3배 수준이었다.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을 묻자 미혼자 4명 중 1명 꼴인 25.7%(여성 30.1%·남성 22.1%)가 결혼 의사가 없었다.
결혼을 망설이는 이유로 여성의 51.3%가 '굳이 할 이유가 없어서', 남성의 48.1%가 '경제적 비용 부담'을 꼽았다.
또 자녀가 없는 15∼49세 응답자 중 26.9%(여성 31.2%·남성 23.4%)가 자녀를 갖지 않겠다고 응답했다.
'자녀양육·교육비 부담'(42.0%)이 자녀를 갖는 데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됐다. ◇ 우선 해결해야 할 성불평등 문제로는 '여성 경력 단절' 꼽아
'한국사회의 각종 여성폭력이 심각하다'는 인식은 2016년 82.1%에서 지난해 85.7%로 오히려 상승했다.
이는 2018년 이후 광범위하게 퍼진 미투 운동과 이른바 'n번방'사건 여파로 문제의식이 확산한 것으로 풀이된다.
가장 우선 해결해야 할 성불평등 문제(1+2+3순위)로는 응답자의 69.2%가 '여성의 경력단절'을 꼽았다.
이어 고용상 성차별(61.1%), 남성의 낮은 돌봄참여(56.2%), 여성에 대한 폭력(40.7%) 등이 뒤를 이었다.
여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제3차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2023∼2027)'을 수립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