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물가상승압력 전방위 확산…중앙은행 적극대응 필요”
한국은행이 물가상승압력이 전방위적으로 확산되는 만큼 중앙은행이 통화정책 운영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7일 한은은 ‘高인플레이션에 대응한 통화정책 운용’을 주제로 한 ‘BOK 이슈노트’를 통해 “중앙은행이 물가 안정을 도모하고 경제주체들의 물가불안 심리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하는 것이 중기적으로 거시경제 안정화에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한은에 따르면 최근 주요국의 물가 오름세가 가팔라지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물가상승압력이 크게 증가했다.

지난 3월 미국과 유로지역 영국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은 각각 8.5%와 7.5% 7.0% 수준이다. 한국역시 3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4.1%까지 상승했다.

한은은 “우크라이나 사태 발생으로 원자재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한 가운데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중국 봉쇄정책으로 공급망 병목이 길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국내 소비도 방역조치완화로 회복되며 수요측 물가상승압력도 증대될 것으로 보여 향후 물가 상방리스크가 더 클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은은 과거 물가가 급등했던 석유파동 당시 긴축적인 통화정책으로 대응했던 독일의 사례에 주목했다.

독일의 물가상승률을 살펴보면 1차 석유파동 이전인 1971~1972년 당시 5.4%를 기록했다. 이후 1차석유파동(6.6%)때 소폭 상승한 이후 1978년~1980년 2차석유파동(4.1%)에는 안정된 흐름을 보였다.

반면 미국과 영국의 물가상승률은 은 1차 석유 파동 이전(미국·3.8%, 영국·8.3%)대비 1차(미국·8.8%, 영국·16.5%), 2차(미국·10.8%, 영국·13.2%) 석유파동 발생 기간 큰 폭으로 뛰어올랐다.

한은은 “과거 고인플레이션이 발생했던 1970년 석유파동 당시 물가 오름세 심화에 대응해 금융완화기조를 적극 축소한 독일의 정책 성과가 확장적으로 운용했던 미국과 영국대비 우월한 것으로 평가됐다”며 “이는 물가불안심리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통해 적극 대응하는 점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한은 “물가상승압력 전방위 확산…중앙은행 적극대응 필요”
정희형기자 hhjeong@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