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대통령 첫 조계종 종정 추대법회 참석…'불심 달래기' 해석도

문재인 대통령은 30일 오후 서울 조계사에서 열린 대한불교조계종 제15대 종정 성파 대종사 추대 법회에 참석했다.

이 법회는 조계종 최고 지도자인 종정으로 성파 스님이 추대되는 것을 축하하기 위한 것으로, 현직 대통령이 종정 추대 법회에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청와대는 전했다.

문 대통령은 축사에서 "저는 영축총림 통도사에서 종정 예하를 여러 번 뵌 적이 있다.

그때마다 큰 가르침을 받았고 정신을 각성시키는 맑고 향기로운 기억으로 간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불교는 긴 세월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불교가 실천해온 자비와 상생의 정신은 우리 국민의 심성에 녹아 이웃을 생각하고 자연을 아끼는 마음이 됐다"며 "불교는 코로나 유행 속에서도 동체대비(중생과 자신이 동일체라고 보고 큰 자비심을 일으킨다는 뜻)의 정신을 실천해 국민께 희망의 등불을 밝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미크론의 마지막 고비를 넘고 계신 국민들께 불교가 변함없는 용기와 힘을 줄 것으로 믿는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종정 예하는 모두를 차별 없이 존중하고 배려하는 '상불경 보살'의 정신과,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선한 마음을 강조하셨다"며 "그 가르침대로 우리 사회가 갈등과 대립을 넘어 화합과 통합의 시대로 나아가길 바라마지 않는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최근 정부나 더불어민주당이 불교계와 껄끄러운 관계를 노출했다는 점에서, 문 대통령의 이번 방문은 '불심 달래기' 행보가 아니냐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문화체육관광부는 천주교 서울대교구와 함께 '캐럴 활성화 캠페인'을 진행했다가 불교계의 반발에 맞닥뜨렸고, 결국 황희 문체부 장관이 조계종 총무원을 찾아가 유감을 표명한 일이 있었다.

여기에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의원이 지난해 이른바 '봉이 김선달' 발언으로 불교계의 강한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행사 참석에 정권과 불교계의 갈등이 고려가 됐느냐'는 질문에 "불교계에 매우 중대한 행사인데다 문 대통령과 성파 스님의 인연도 있어 참석한 것으로 안다"면서도 "그것(불교계와 정권의 관계)도 고려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도 지난 1월 설 연휴에 경남 통도사를 찾아 성파 스님을 만난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