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보고서…"남미 3개국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타격" 우려도
"중국 부동산 시장, 정부 지원에도 본격 회복은 아직"
중국 정부가 지난해 헝다 사태 이후 부동산 규제를 완화하고 있지만, 시장이 본격적으로 회복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조사국 중국경제팀은 27일 '중국 부동산시장 현황 및 전망' 보고서에서 "지난해 4분기부터 중국 부동산 기업들의 경영 여건이 회사채 발행 축소와 주가 하락 등으로 악화했다"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중국 2위 부동산 개발 업체 헝다(恒大·에버그란데)는 지난해 9월부터 천문학적 부채를 짊어지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파산설에 휩싸인 바 있다.

직후 이 충격으로 다른 중국 부동산 업체들이 줄줄이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졌고, 헝다 역시 지난해 12월 결국 디폴트 수순을 밟았다.

이에 중국 정부는 올해 초부터 대출 규제를 완화하고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상향하는 등 주택마련 여건을 개선했다.

또 분양대금을 이전보다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 기업들의 돈줄을 터주기도 했다.

그런데도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진 탓에 당분간 본격적으로 회복 경로에 진입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른 봉쇄 조치가 강화되고, 우크라이나 사태로 국제 원자재 가격이 올라 부동산 경기회복세가 제약받을 것"이라며 "또 정부의 완화 정책에 따라 부채와 신용위험이 되레 누증돼 구조적 리스크가 더 커질 수도 있다"라고 우려했다.

아울러 한은 아태경제팀은 이날 재정건전성이 취약한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칠레 등 남미 3개국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과정에서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놨다.

아태경제팀은 "지난해 이들 남미 3개국의 물가상승률이 크게 오르고 있고, 브라질의 경우 올해 대통령 선거가 있어 정치적 불안이 확대하고 있다"라면서 "향후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금융 불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