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당국, 임시조립주택 이어 공공 임대아파트 건설까지 추진
초대형 산불에 터전 잃은 이재민…장·단기 지원책 마련
초대형 산불로 하루아침에 삶의 터전을 잃고 마을회관, 친·인척 집 등 임시 거주처에서 힘겨운 생활하는 이재민들은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하기만 하다.

행정 당국은 이재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피해조사와 이를 토대로 한 복구계획이 수립되기 전까지 우선 임시주택과 생계비 등 지원을 서두르고 있다.

정부는 산불피해 수습·복구 지원 방안을 마련했고, 울진군은 이재민 주거 안정을 위한 임시조립주택 설치에 나섰다.

울진군은 먼저 확보한 임시조립주택 20동을 북면 신화2리에 설치하기로 했으며 추가로 임시조립주택 확보와 기반 조성을 하고 있다.

군은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을 임시조립주택과 LH 전·월세 임차 유형으로 나눠 수요를 파악하고 있다.

기존주택 전세 임대를 통한 공공임대를 지원하고, 이재민들의 수요가 많을 경우에는 공공임대 아파트 건설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군은 또 산불로 부상을 입거나 재산 피해를 본 주민에게 긴급복지 생계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지원 대상은 산불 피해 가정 가운데 재산 기준으로 1억3천만 원 이하, 금융재산은 4인 가구 기준 932만 원 이하인 두 가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생계비 지원금액은 1인 가구의 경우 48만8천800원, 4인 가구의 경우 130만4천900원이다.

정부도 이재민에게 임시조립주택을 1년간(연장 가능) 무상제공하기로 하는 등 산불 피해 주민 지원을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이재민에게 2년간 임대료 50% 감면 조건으로 공공 임대주택을 제공하고, 주택 복구를 희망하는 경우 최대 8천840만 원까지 재해주택 복구자금 융자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와 별도로 피해조사가 끝나면 사회재난에 따른 주거비 지원 명목으로 주택 모두가 불에 탄 경우 가구당 1천600만 원, 반이 소실됐을 경우는 800만 원을 지원한다.

하지만 주택을 새로 짓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라 이재민들은 추가 부담 걱정에 답답하기만 하다.

초대형 산불에 터전 잃은 이재민…장·단기 지원책 마련
울진군 관계자는 "농촌에서도 새로 집을 지으려면 많은 돈이 필요하므로 이재민에게는 큰 부담이다"며 "각종 성금 등이 어떻게 사용·배분될지는 모르겠으나 낮은 이자로 장기간에 분할상환하는 농촌주택 개량사업 융자도 가능하면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농작물 등은 피해조사가 끝난 뒤 작목별, 가축별, 시설별로 정해진 단가에 따라 복구 비용을 지원한다.

하지만 영농을 재기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게 현장 목소리다.

도는 농축산 관련 복구에 포함되지 않는 농기계도 복구 지원이 가능하도록 정부와 협의를 하고 있다.

도는 피해 지역 농기계를 수리해주고 농기계 임대료도 지난 8일부터 면제해주고 있다.

볍씨 등 종자와 구호용 정부 양곡을 무상으로 공급하고 피해 농가 동물 무료 진료를 하고 있다.

한편 산림청은 이날 주불이 잡힌 이번 산불로 시설물은 주택 319채, 농축산 시설 139개소, 공장과 창고 154개소, 종교시설 등 31개소 등 총 643개소가 소실됐다.

이재민은 337명이 발생했다.

정부는 이번 산불 피해와 관련해 이재민 긴급 구호 및 주거, 생활 안정, 농·임업인 영농재개, 중소 자영업자 등 경제활동, 세제 및 금융 등 분야별로 대책을 마련해 지원하기로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