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한의 정찰위성을 개발하는 국가우주개발국을 현지지도 했다고 10일 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전하며 실은 사진. 사진=뉴스1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한의 정찰위성을 개발하는 국가우주개발국을 현지지도 했다고 10일 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전하며 실은 사진. 사진=뉴스1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전용 가능한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수 있는 서해위성발사장을 찾아 위성로켓 발사 시설 개건을 지시했다.

조선중앙통신은 11일 "김정은 동지께서 서해위성발사장을 현지지도하시였다"고 밝혔다. 이어 "총비서 동지께서는 서해위성발사장의 여러곳을 돌아보시면서 위성발사장개건현대화목표를 제시하시고 그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과 방도를 밝혀주시였다"고 전했다.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소재 서해위성발사장은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수 있는 현대적인 발사대와 로켓 이동 레일 등의 시설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통신은 "총비서동지께서는 서해위성발사장의 현 상태에 대하여 료해평가하시면서 앞으로 군사정찰위성을 비롯한 다목적위성들을 다양한 운반로케트로 발사할수 있게 현대적으로 개건확장하며 발사장의 여러 요소들을 신설할데 대한 과업을 제시하시였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발사장 구역과 로켓 총조립 및 연동 시험시설들을 대형 운반로켓을 발사할 수 있도록 개건 및 확장하도록 지시했다.
북한이 2020년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공개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사진=연합뉴스
북한이 2020년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공개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사진=연합뉴스
한편, 미국 정부는 10일(현지시간) 북한이 최근 두 차례 시험발사한 탄도미사일이 ICBM 시스템과 관련돼 있다고 밝혔다.

미 고위당국자는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북한이 지난달 27일(한국 시간)과 이달 5일 시험 발사한 두 차례 탄도미사일에 대해 면밀한 분석 끝에 이런 결론을 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 ICBM 시스템은 북한이 2020년 10월 노동당 창건일 열병식과 작년 10월 무기 박람회 때 선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이들 시험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라고 규탄하고 역내 안보 상황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긴장과 위험 고조 행위라고 비난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