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주유엔 한국대사가 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사태에 관한 유엔 긴급특별총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주유엔 한국대표부 제공
조현 주유엔 한국대사가 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사태에 관한 유엔 긴급특별총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주유엔 한국대표부 제공
조현 주유엔 한국대사가 유엔 긴급특별총회에서 이번 총회가 유엔이 6·25전쟁 당시 마련된 결의안을 바탕으로 개최됐다는 점을 강조하며 “우크라이나인들을 향해 연대를 표시한다”고 말했다. 이어 러시아의 무력침공을 규탄하며 철군을 촉구했다.

조 대사는 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긴급총회 2일차에 발언자로 나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무력 침공을 강하게 규탄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이에 따라 한국은 (러시아 철군을 요구하는) 유엔 안보리와 총회 결의안에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했다”며 “회원국의 주권, 독립, 영토보전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어떠한 행동도 규탄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긴급총회 소집의 근거가 된 ‘평화를 위한 단결’ 결의안도 강조했다. 이 결의는 1950년 6·25전쟁 발발 후 소련(현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기능이 마비된 이후 생겼다. 유엔총회는 같은해 11월 국제 평화와 안전의 유지·회복을 위한 집단적 조치를 권고하고 긴급특별총회를 개최할 수 있도록 규정하는 이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번 긴급 총회 역시 러시아의 침공을 규탄하고 즉각 철군을 촉구하는 안보리 결의안을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거부권을 행사하며 무산돼 개최됐다.

조 대사는 “유엔 초창기에 한국은 유엔이 '평화를 위한 단결' 결의에 따라 침공 행위에 대응해 지원한 첫 번째 나라였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유엔이 그 당시 무고한 시민들의 울부짖음에 즉각 일어서준 덕분에 오늘날에도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며 “이것은 우리가 유엔 헌장의 원칙을 수호하기 위해 한목소리로 단합할 때 유엔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분명히 보여준 사례이자 증언”이라고 말했다.

70여년을 사이에 두고 무력침공을 당했다는 비슷한 상황을 마주한 우크라이나를 향한 연대도 강조했다. 조 대사는 “이것은 우리 대표부가 우크라이나 상황을 먼 나라의 비극으로 보지 않는 이유이자, 우리가 우크라이나인들을 향해 연대를 표시하는 이유”라며 “또 유엔 체계에서 여전히 희망을 품는 이유”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 확대도 약속했다. 조 대사는 민간인 사상자와 피란민 증가, 민간 인프라 파괴 소식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는 동시에 “한국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을 더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긴급 총회 차원의 결의안은 현지시간 2일께 표결에 부쳐져 무난히 가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결의안은 안보리 결의안과 달리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미국 등 서방진영은 최대한 많은 찬성표를 결집해 국제사회에서 러시아의 고립상황을 부각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