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식물 광합성 모방해 태양전지 효율 높이는 기술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광합성 전자 전달 방식 본떠 염료 분자 설계 전략 제시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식물 광합성의 전자 전달 방식을 모방한 새로운 염료 분자 디자인 전략을 개발, 염료감응 태양전지 효율을 높였다고 27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권태혁·권오훈 교수 연구팀은 기존 염료 분자의 도너-억셉터(donor-acceptor) 분자 구조에 새로운 화학 구조(분자 유닛)를 추가해 식물 광합성의 전자 전달 방식을 모방할 수 있는 염료를 개발했다.
이 염료는 분자 유닛 간 강한 상호 작용과 약한 상호 작용을 모두 가진다는 특성이 있다.
강한 상호 작용은 분자 내에서 전자를 빠르게 전달하지만, 전자(-)와 정공(+) 재결합도 빠른 단점이 있는데, 약한 상호 작용을 추가로 형성해 전자를 빠르게 전달하면서 재결합 손실을 줄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식물 광합성은 전자를 한 방향으로만 전달해 전자가 역으로 돌아와 정공과 재결합하는 것을 막는 특성이 있다.
이 덕분에 엽록소가 빛을 흡수해 만든 전자가 재결합으로 손실되지 않고 다음 광합성 단계로 잘 전달되는데, 식물 광합성에서 전자를 다음 단계로 전달하는 효율은 100%에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개발한 염료가 전자를 빠르게 전달하면서도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은 기존의 8분의 1 수준으로 억제하는 것을 흡수 분광분석으로 확인했는데, 이는 식물 광합성에서 전자를 한 방향으로 전달하는 특성과 유사하다.
이 염료 분자를 쓴 태양전지는 최대 10.8%의 효율을 기록했다.
염료 분자 내 상호 작용을 조절하지 않는 태양전지 대비 60% 이상 향상된 수치다.
권태혁 교수는 "식물 광합성을 본떠 빛에 의해 생성된 전자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자 디자인을 개발했다는 데 의의가 크다"며 "연구에서 개발한 분자 설계 전략은 태양전지뿐만 아니라 인공 광합성, 광촉매 분야 등 다양한 곳에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켐'(Chem) 온라인판에 16일 자로 공개됐다.
연구 수행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기후변화대응과제와 UNIST 등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연합뉴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권태혁·권오훈 교수 연구팀은 기존 염료 분자의 도너-억셉터(donor-acceptor) 분자 구조에 새로운 화학 구조(분자 유닛)를 추가해 식물 광합성의 전자 전달 방식을 모방할 수 있는 염료를 개발했다.
이 염료는 분자 유닛 간 강한 상호 작용과 약한 상호 작용을 모두 가진다는 특성이 있다.
강한 상호 작용은 분자 내에서 전자를 빠르게 전달하지만, 전자(-)와 정공(+) 재결합도 빠른 단점이 있는데, 약한 상호 작용을 추가로 형성해 전자를 빠르게 전달하면서 재결합 손실을 줄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식물 광합성은 전자를 한 방향으로만 전달해 전자가 역으로 돌아와 정공과 재결합하는 것을 막는 특성이 있다.
이 덕분에 엽록소가 빛을 흡수해 만든 전자가 재결합으로 손실되지 않고 다음 광합성 단계로 잘 전달되는데, 식물 광합성에서 전자를 다음 단계로 전달하는 효율은 100%에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개발한 염료가 전자를 빠르게 전달하면서도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은 기존의 8분의 1 수준으로 억제하는 것을 흡수 분광분석으로 확인했는데, 이는 식물 광합성에서 전자를 한 방향으로 전달하는 특성과 유사하다.
이 염료 분자를 쓴 태양전지는 최대 10.8%의 효율을 기록했다.
염료 분자 내 상호 작용을 조절하지 않는 태양전지 대비 60% 이상 향상된 수치다.
권태혁 교수는 "식물 광합성을 본떠 빛에 의해 생성된 전자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자 디자인을 개발했다는 데 의의가 크다"며 "연구에서 개발한 분자 설계 전략은 태양전지뿐만 아니라 인공 광합성, 광촉매 분야 등 다양한 곳에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켐'(Chem) 온라인판에 16일 자로 공개됐다.
연구 수행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기후변화대응과제와 UNIST 등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