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제안 일주일만에 결렬 선언…"국힘, 사퇴설 등 정치 모리배 짓"
국힘 "정권교체 위해 함께 노력하길"…국민의당 "황당무계한 입장"
안철수 "이제부터 저의 길 가겠다"…野 후보 단일화 불발(종합2보)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는 20일 "이제부터 저의 길을 가겠다"며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와의 단일화 결렬을 공식 선언했다.

지난 13일 후보 등록 직후 윤 후보에게 여론조사 국민경선 방식의 단일화를 전격 제안한 지 일주일 만에 그 제안을 거둬들인 것이다.

막판 최대 변수로 거론됐던 야권 단일화가 좌초되면서 이번 대선은 일단 다자구도로 치러질 가능성이 커졌다.

다만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윤석열 후보 간 지지율 박빙 구도가 이어질 경우 단일화 불씨가 언제든지 살아날 수 있다는 관측도 여전히 나와 막판까지 시계제로 상황이 전개될 전망이다.

안 후보는 이날 오후 1시 30분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 일주일 기다리고 지켜보았다.

더이상의 무의미한 과정과 시간을 정리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3일 자신의 단일화 제안에 대해선 "어떻게 해서든 단일화 프레임에 가두려는 정치 환경과 구도를 극복해보려는 고육지책이었고, 정권교체를 위해 힘을 합쳐달라는 여론의 뜻을 받들고자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제 제안을 받은 윤 후보는 일주일이 지나도록 가타부타 아무런 대답이 없었다"며 "저희 당이 겪은 불행을 틈타 상 중에 후보 사퇴설과 경기지사 대가설을 퍼뜨리는 등 정치 모리배 짓을 서슴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지난 15일 국민의당 유세차 사고로 안 후보가 선거운동을 전면 중단한 뒤 국민의힘 일각에서 안 후보의 중도 사퇴설과 경기지사 제안설이 거론됐던 것에 격앙된 반응을 보인 것이다.

안 후보는 "단일화가 성사되지 못한 책임은 제1야당과 윤 후보에게 있음을 분명하게 말씀드린다.

물론 저에 대한 비판의 소지도 있을 것이다.

겸허하게 수용하겠다"고 했다.

안철수 "이제부터 저의 길 가겠다"…野 후보 단일화 불발(종합2보)
이에 대해 국민의힘은 이양수 선대본부 수석대변인은 "안 후보의 충정을 충분히 이해한다.

정권교체를 요구하는 국민께 실망을 드려선 안 될 것"이라며 "정권교체를 위해 앞으로도 계속 함께 노력하기를 바란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권영세 선대본부장도 페이스북에 국민의힘의 이 같은 공식 입장을 담은 기사를 링크하며 "더 노력해야지요…"라고 적었다.

국민의힘 내부적으로는 안 후보에게 책임론을 돌리면서 당혹스러워하는 반응들이 나왔다.

이 수석대변인이 "양측 책임 있는 분들이 소통을 꾸준히 해오셨기에 오늘 안 후보 회견은 저희로선 상당히 의외였다"고 발언한 것도 이런 연장선상에서 해석된다.

국민의힘은 그동안 두 후보 간 지지율 격차, 여권 지지층의 역선택 가능성 등을 우려해 '여론조사 단일화' 방식은 어렵다는 입장을 직간접적으로 피력해왔다.

국민의힘은 이날 안 후보 회견에도 후보 간 담판 등 방식을 통한 단일화 가능성은 열어두는 분위기다.

이 수석대변인은 윤 후보가 안 후보에게 회동을 제안할지에 대해 "그건 향후 양측 분위기를 봐가면서 저희가 판단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밝혔다.

안철수 "이제부터 저의 길 가겠다"…野 후보 단일화 불발(종합2보)
국민의당은 국민의힘 입장에 대해 즉각 반발했다.

홍경희 선대위 대변인은 논평에서 이 수석대변인의 입장 발표에 대해 "적반하장식 입장 표명으로 책임을 회피하려는 태도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또 "안 후보의 충정을 이해한다면 그간 단일화 제안을 두고서 국민의힘 내부자들이 쏟아낸 조롱과 비하의 책임을 우선 강하게 묻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단일화 불발에 따라 양측은 당분간 책임 공방과 신경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윤 후보는 야권 통합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다자구도 상황에 대비해 지지율 제고에 총력전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안 후보 역시 독자 완주를 선언한 만큼 현재 10% 안팎인 지지율을 유의미한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전력투구할 전망이다.

이재명·윤석열 후보의 지지율이 박빙 흐름을 이어갈 경우 정권교체를 바라는 야권 지지층에서 단일화 압박 여론이 다시 높아질 수 있다.

이 때문에 대선 전날까지도 단일화 변수는 살아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