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게임·BTS…해외 문화콘텐츠 시장서 한류 비중 확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22년 해외 한류 실태조사'…'지나친 상업성' 등 부정적 인식도 커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 속에서 해외에서 한국 콘텐츠 소비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함께 14일 발표한 '2022 해외 한류 실태조사'(2021년 기준)에 따르면 해외 한류 소비자들이 소비한 전체 문화 콘텐츠 가운데 한국 콘텐츠 10개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27.4%로 전년보다 5.9%포인트 증가했다.
분야별 소비 비중은 미용(뷰티, 31.7%), 드라마(31%), 패션(29.2%) 등의 순이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한국 콘텐츠 소비가 증가했다고 응답한 분야는 드라마(53.5%), 영화(51.8%), 예능(51.5%) 등의 순으로 영상 콘텐츠 분야에서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비대면·콘텐츠 소비 보편화와 세계적인 인기를 끈 '오징어게임'의 영향으로 분석된다고 문체부는 설명했다.
한류 콘텐츠에 대한 호감도와 자국 내 한류 인기가 '높다'고 답한 비율은 모든 조사 분야에서 전년보다 증가했다.
인기 분야는 드라마(37.3%), 예능(32.9%), 미용(뷰티, 29%), 게임(23.7%), 출판(22.2%), 음식(17.1%) 순이었다.
한류 소비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한류 콘텐츠는 드라마에서는 '오징어게임'이 21.2%로 압도적 1위였고, 2위 '사랑의 불시착'(2.2%), 3위 '빈센조'(1.9%)였다.
한국 가수 선호도는 방탄소년단(26.7%), 블랙핑크(10.4%)가 작년에 이어 각각 1·2위를 차지했다.
배우 이민호, 영화 '기생충', 애니메이션 캐릭터 라바, 게임 배틀그라운드도 분야별 가장 선호하는 한류 콘텐츠로 꼽혔다.
한류의 미래 가치를 파악하고자 전년도 조사에서 처음 도입한 지표인 '브랜드 경쟁력(파워) 지수'(BPI)는 61.6점으로 전년보다 3.1점 상승했다.
BPI는 현재 인기도와 미래 잠재력 지수를 각각 50% 가중치를 적용해 100점으로 환산하는데, 분야별로는 한식(67.6점), 미용(뷰티, 65.3점), 영화(64.3점) 순으로 높았다.
외국인들이 한류 콘텐츠를 접촉하는 주된 경로는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이었다.
가장 많이 활용하는 플랫폼으로는 유튜브가 드라마, 예능, 음악,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1위, 넷플릭스가 영화 분야 1위를 차지했다.
아울러 한류로 높아진 국가이미지가 연관 산업에도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61.8%가 한류 콘텐츠가 한국산 제품과 서비스의 구매·이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브랜드 인지도가 낮아도 한국산이면 구매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전년도보다 7.4%포인트 증가해 40%에 달했다.
그러나 한류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함께 높아졌다.
한류의 부정적 인식에 공감한 응답자는 30.7%로 전년도 24.4%보다 6.3%포인트 상승했다.
주요 원인으로는 '지나친 상업성'(25.1%), '자국 콘텐츠 산업 보호 필요성'(22.7%) 등이 지적됐다.
이번 조사는 18개국의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8천5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12월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진행됐다.
전체 보고서는 문체부(www.mcst.go.kr)와 진흥원(www.kofice.or.kr)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연합뉴스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함께 14일 발표한 '2022 해외 한류 실태조사'(2021년 기준)에 따르면 해외 한류 소비자들이 소비한 전체 문화 콘텐츠 가운데 한국 콘텐츠 10개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27.4%로 전년보다 5.9%포인트 증가했다.
분야별 소비 비중은 미용(뷰티, 31.7%), 드라마(31%), 패션(29.2%) 등의 순이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한국 콘텐츠 소비가 증가했다고 응답한 분야는 드라마(53.5%), 영화(51.8%), 예능(51.5%) 등의 순으로 영상 콘텐츠 분야에서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비대면·콘텐츠 소비 보편화와 세계적인 인기를 끈 '오징어게임'의 영향으로 분석된다고 문체부는 설명했다.
한류 콘텐츠에 대한 호감도와 자국 내 한류 인기가 '높다'고 답한 비율은 모든 조사 분야에서 전년보다 증가했다.
인기 분야는 드라마(37.3%), 예능(32.9%), 미용(뷰티, 29%), 게임(23.7%), 출판(22.2%), 음식(17.1%) 순이었다.
한류 소비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한류 콘텐츠는 드라마에서는 '오징어게임'이 21.2%로 압도적 1위였고, 2위 '사랑의 불시착'(2.2%), 3위 '빈센조'(1.9%)였다.
한국 가수 선호도는 방탄소년단(26.7%), 블랙핑크(10.4%)가 작년에 이어 각각 1·2위를 차지했다.
배우 이민호, 영화 '기생충', 애니메이션 캐릭터 라바, 게임 배틀그라운드도 분야별 가장 선호하는 한류 콘텐츠로 꼽혔다.
한류의 미래 가치를 파악하고자 전년도 조사에서 처음 도입한 지표인 '브랜드 경쟁력(파워) 지수'(BPI)는 61.6점으로 전년보다 3.1점 상승했다.
BPI는 현재 인기도와 미래 잠재력 지수를 각각 50% 가중치를 적용해 100점으로 환산하는데, 분야별로는 한식(67.6점), 미용(뷰티, 65.3점), 영화(64.3점) 순으로 높았다.
외국인들이 한류 콘텐츠를 접촉하는 주된 경로는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이었다.
가장 많이 활용하는 플랫폼으로는 유튜브가 드라마, 예능, 음악,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1위, 넷플릭스가 영화 분야 1위를 차지했다.
아울러 한류로 높아진 국가이미지가 연관 산업에도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61.8%가 한류 콘텐츠가 한국산 제품과 서비스의 구매·이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브랜드 인지도가 낮아도 한국산이면 구매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전년도보다 7.4%포인트 증가해 40%에 달했다.
그러나 한류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함께 높아졌다.
한류의 부정적 인식에 공감한 응답자는 30.7%로 전년도 24.4%보다 6.3%포인트 상승했다.
주요 원인으로는 '지나친 상업성'(25.1%), '자국 콘텐츠 산업 보호 필요성'(22.7%) 등이 지적됐다.
이번 조사는 18개국의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8천5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12월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진행됐다.
전체 보고서는 문체부(www.mcst.go.kr)와 진흥원(www.kofice.or.kr)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