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공개(IPO) 최대어 LG에너지솔루션이 불러일으킨 허수 청약 문제를 두고 논란이 커지자 정치권과 금융당국이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공모주 청약이 국민적인 재테크 수단으로 떠오른 만큼 비정상적인 관행을 차단하고 개인투자자를 보호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다음달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이 발빠르게 움직였다. 윤창현 국민의힘 선대본부 정책부본부장은 최근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에서 “이번 LG에너지솔루션 수요예측에서 발생한 기관투자가들의 대규모 허수청약은 주식시장의 전형적인 불공정 사례”라며 “자기자본과 펀드 순자산에 비례한 청약 한도를 설정하는 등 허수청약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지난달 자신의 페이스북에 허수청약 문제를 지적하는 본지 기사를 공유하며 “조금만 노력하면 주가지수 5000포인트가 가능한데도 3000포인트를 오가는 저평가 이유가 바로 불공정·불투명성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런 문제 하나 해결하지 못하는 금융당국은 무능하거나 부패하거나 둘 중 하나”라며 “즉시 엄중 문책하고 수요조작 방지 조치를 해야 한다”고 했다.

정치권에서 ‘당국 문책론’이 나오자 금융당국도 본격적인 대책 논의에 나섰다.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IPO 수요예측 과정에서 기관투자가 역할에 대해 지적 여론이 있어서 금융위원회와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업계에 따르면 투자일임사 등록 후 2년이 지난 곳 중 투자일임자산 규모가 50억원 이상인 곳만 청약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현재 투자일임업은 투자운용 인력이 두 명 이상 있고 전문투자자의 경우 5억원의 자본금만 보유하고 있으면 설립 가능하다. 이들도 자산운용사와 같은 기관투자가로 분류돼 증거금 없이 청약에 참여할 수 있다는 문제가 지적돼왔다.

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