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e커머스 성장률, 오프라인의 2배…매출도 넘어섰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업부, 2021년 연간 주요유통업체 매출동향 발표
지난해 주요 유통업체의 연간 매출이 전년도에 비해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며 최근 5년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중 온라인 업체의 성장률은 오프라인의 두 배를 넘어섰다. 월별 집계로는 2021년 11월 오프라인 매출이 온라인에 처음 역전을 허용한데 이어 같은 흐름을 2달째 이어갔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27일 '2021년 연간 주요유통업체 매출동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21년 주요 유통업체 매출은 전년대비 11.3% 증가했고, 부분별로 살펴보면 오프라인 7.5%, 온라인 15.7%로 집계됐다.
오프라인 매장은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기저효과와 잠재된 소비심리의 표출에 따라 백화점(롯데·신세계·현대 등) 24.1%를 중심으로 매출이 증가했다. 온라인(쿠팡·이베이코리아·11번가 등)의 경우 장보기·음식 배달 주문 등 비대면 소비 확산이 이어지며 앞선 해 18.4%에 이어 두 자릿수 성장세를 유지했다.
상품군 별로 보면 해외여행의 제약 영향 등으로 유명브랜드(1.0%p)의 매출 비중이 확대됐다. 온라인을 통한 음식 배달과 온라인 쿠폰 사용 등이 늘어나면서 서비스·기타 비중도 1% 증가했다.
반면 패션·잡화와 아동·스포츠는 각각 0.3%와 0.2%, 식품(△0.8%)과 생활·가정(△0.6%) 역시 비중이 줄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에 대한 기저효과와 소비심리 회복으로 백화점 뿐 아니라, GS25, CU,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 매출도 6.8% 늘어났다. 반면 대형마트(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와 SSM(이마트에브리데이, 롯데슈퍼, GS더후레쉬, 홈플러스익스프레스 등)는 각각 2.3%, 9.1% 감소했다.
백화점은 해외유명브랜드(37.9%), 아동스포츠(31.9%) 부문을 중심으로 전 품목의 매출 상승세가 두드러졌고, 편의점은 근거리·소량 구매 선호에 따라 가공·즉석 등 식품군(9.6%)과 담배 등 기타(4.3%)의 매출도 증가했다.
대형마트는 다중이용시설 기피, 점포 수 감소 등에 발목이 잡혔는데 잡화(△14.3%), 가정·생활(△11.5%), 가전·문화(△1.0%), 식품(△0.3%) 등 대다수 상품군의 판매가 쪼그라들었다. SSM(준대규모점포) 역시 온라인으로 구매 채널이 이동한 일상용품(△18.0%)·생활잡화(△10.4%) 등 비식품군(△14.6%)과 식품군(△7.7%) 매출이 모두 감소했다.
온라인 채널의 경우 비대면 장 보기가 보편화되면서 식품군(23.8%) 매출이 꾸준히 증가했고, 음식 배달·e-쿠폰 사용 등이 확산됨에 따라 서비스·기타(37.9%) 매출이 가파르게 성장하여 전체 온라인 매출을 이끌었다.
이 밖에 화장품(15.3%), 가전·전자(13.6%), 생활·가구(8.7%) 등 대부분 상품군의 매출이 증가하였으나 아동·유아(△3.6%)는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2021년 11월에 이어 온라인 시장 규모가 오프라인 시장 규모를 넘어선 점도 주목된다. 2021년 12월 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은 7조 4백억 원, 온라인은 7조 1,200억 원이었는데, 각각 49.7%, 50.3% 비중이었다. 비대면 소비의 일상화 및 각종 연말 할인행사에 힘입어 매출 성장세를 이어갔다는 분석이다. 박승완기자 pswan@wowtv.co.kr
오프라인 매장은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기저효과와 잠재된 소비심리의 표출에 따라 백화점(롯데·신세계·현대 등) 24.1%를 중심으로 매출이 증가했다. 온라인(쿠팡·이베이코리아·11번가 등)의 경우 장보기·음식 배달 주문 등 비대면 소비 확산이 이어지며 앞선 해 18.4%에 이어 두 자릿수 성장세를 유지했다.
상품군 별로 보면 해외여행의 제약 영향 등으로 유명브랜드(1.0%p)의 매출 비중이 확대됐다. 온라인을 통한 음식 배달과 온라인 쿠폰 사용 등이 늘어나면서 서비스·기타 비중도 1% 증가했다.
반면 패션·잡화와 아동·스포츠는 각각 0.3%와 0.2%, 식품(△0.8%)과 생활·가정(△0.6%) 역시 비중이 줄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에 대한 기저효과와 소비심리 회복으로 백화점 뿐 아니라, GS25, CU,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 매출도 6.8% 늘어났다. 반면 대형마트(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와 SSM(이마트에브리데이, 롯데슈퍼, GS더후레쉬, 홈플러스익스프레스 등)는 각각 2.3%, 9.1% 감소했다.
백화점은 해외유명브랜드(37.9%), 아동스포츠(31.9%) 부문을 중심으로 전 품목의 매출 상승세가 두드러졌고, 편의점은 근거리·소량 구매 선호에 따라 가공·즉석 등 식품군(9.6%)과 담배 등 기타(4.3%)의 매출도 증가했다.
대형마트는 다중이용시설 기피, 점포 수 감소 등에 발목이 잡혔는데 잡화(△14.3%), 가정·생활(△11.5%), 가전·문화(△1.0%), 식품(△0.3%) 등 대다수 상품군의 판매가 쪼그라들었다. SSM(준대규모점포) 역시 온라인으로 구매 채널이 이동한 일상용품(△18.0%)·생활잡화(△10.4%) 등 비식품군(△14.6%)과 식품군(△7.7%) 매출이 모두 감소했다.
온라인 채널의 경우 비대면 장 보기가 보편화되면서 식품군(23.8%) 매출이 꾸준히 증가했고, 음식 배달·e-쿠폰 사용 등이 확산됨에 따라 서비스·기타(37.9%) 매출이 가파르게 성장하여 전체 온라인 매출을 이끌었다.
이 밖에 화장품(15.3%), 가전·전자(13.6%), 생활·가구(8.7%) 등 대부분 상품군의 매출이 증가하였으나 아동·유아(△3.6%)는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2021년 11월에 이어 온라인 시장 규모가 오프라인 시장 규모를 넘어선 점도 주목된다. 2021년 12월 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은 7조 4백억 원, 온라인은 7조 1,200억 원이었는데, 각각 49.7%, 50.3% 비중이었다. 비대면 소비의 일상화 및 각종 연말 할인행사에 힘입어 매출 성장세를 이어갔다는 분석이다. 박승완기자 pswa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