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2천억원대 횡령사태로 위기를 맞은 오스템임플란트가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한국거래소의 결정이 미뤄지면서, 투자자들은 2주 더 피말리는 시간을 보내게 됐습니다.

성장기업부 김선엽 기자와 오스템임플란트 이슈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김 기자, 일단 오스템임플란트에 대한 거래 정지가 2주 더 연장됐는데, 이유가 뭔가요?

<기자>

네, 오스템임플란트가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에 해당하는지 조사 중인 한국거래소가 오늘 그 이유에 대해 입장을 밝혔는데요.

손병두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오늘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검토에 필요한 자료가 충분히 제공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에 대해 오스템임플란트는 거래소측이 요청한 자료들은 제때 제출했다는 입장입니다. 들어보시죠.

[오스템임플란트 관계자 : 결산 실적을 제출하라고 했는데, 그건 아직 결산이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출하지 못했어도, (나머지 자료는) 지연 제출한 건 없습니다.]

즉 회사가 자료를 제출하지 않아서 미뤄진 게 아니라,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아직 추가적으로 검토할 자료들이 많이 남아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이에 따라 거래소의 결론은 오는 2월 17일에 나오게 됩니다.

<앵커>

증권업계에서는 거래소가 감사보고서를 기다리고 있다는 얘기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들은 어떻게 해석하는 게 좋은가요?

<기자>

다음 달 17일 오스템임플란트가 실질심사 대상에 오를 경우, 15일 이내에 개선 계획을 제출해야 하고요.

거래소는 개선 계획을 받아 20일 이내에 심사해, 거래재개를 결정하거나, 아니면 상장폐지로 결론짓고 거래소 기업심사위원회(기심위)로 넘기게 되는데요.

이 기간 중에, 그러니까 3월 말 쯤에 오스템임플란트의 2021년도 감사보고서가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거래소가 이 감사보고서까지 종합적으로 검토한 다음 결론을 내는 게 합리적이란 분석입니다.

투자자 보호를 위해서는 감사의견을 검토한 후 결정해도 늦지 않다는 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거래소는 최대한 신중하게 결정을 내리겠다는 것입니다.

<앵커>

오스템임플란트 측은 지금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요?

<기자>

회사는 오늘 공시를 통해 주주사과문을 발표했는데요.

"거래 재개 시점을 최대한 앞당기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면서 "외부 회계법인과 개선계획 수립에 착수했으며, 확고한 내부통제시스템과 경영개선계획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오스템임플란트는 2021년 잠정 실적도 함께 공시했는데요.

2021년 매출액 8,229억원(전년 동기대비 30% 증가), 영업이익 1,418억원(전년 동기대비 44% 증가)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고요.

횡령손실 추정액을 모두 반영하고도 2021년 당기순이익이 319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만큼 회사의 현금유동성과 펀더멘털엔 전혀 문제가 없다는 점을 강조한 건데요.

다만, 현재 가장 큰 이슈는 내부회계에 대한 관리와 통제 시스템입니다.

거래소 측은 이외에도 회사 최대주주인 최규옥 회장 등 경영진에 대한 경찰 조사도 아직 진행 중이라는 점에서 조사 결과를 지켜보고 판단하겠다는 취지로도 읽힙니다.

<앵커>

경찰의 최대주주 조사 결과가 왜 중요한 것이죠?

<기자>

네, 오스템임플란트 측은 윗선의 개입이 없었다고 선을 그었는데요.

경찰 조사가 끝나면 결론이 나게 될 텐데, 만일 최대주주가 횡령 사태에 연루됐을 경우, 한국거래소 측은 최대주주 교체를 거래재개 조건으로 제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앞서 신라젠 사태 때도 거래소는 최대주주 변경을 요구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2월 17일이 운명의 날이 될 것 같은데요. 앞서 말씀하신 대로 3월까지 거래 재개 가능성 어떻습니까?

<기자>

네, 증권가에선 상장폐지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많은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거래 정지 기간이 얼마나 지속되느냐입니다.

<기자>

네, 아까 말씀드린 실질심사가 이뤄진 후 기업심사위원회에서 경영개선 기간을 부여할 지 여부 등을 따져봐야 합니다.

일단 금괴 모두 반환 조치된 상황이고, 현재까지 1,414억원을 회수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앞으로 오스템임플란트가 내부통제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개선할지, 또 감사의견을 어떻게 받을지 등에 따라 거래재개 여부가 판가름 나게 됩니다.

<앵커>

네, 김 기자 잘 들었습니다.


김선엽기자 sykim@wowtv.co.kr
오스템임플란트, 다음 달 중순 적격심사 [이슈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