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농가소득 4.3% 증가…올해는 축산물가 하락에 감소 전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KREI, '농업전망 2022' 행사서 발표
지난해 농업 생산액과 농가 소득이 전년보다 각각 7.8%, 4.3%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올해는 축산물 가격 하락으로 농업생산액과 농가소득이 소폭 감소할 전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19일부터 이틀간 온라인으로 열리는 '농업전망 2022' 행사에서 이같이 발표했다.
지난해 농업 생산액은 2020년보다 7.8% 증가한 54조42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중 재배업 생산액은 채소와 과일 가격 상승으로 2.7% 증가했고, 축산업과 양잠업을 합한 '축잠업' 생산액은 한육우, 돼지, 계란값 상승으로 15.3% 늘어났다.
농가 소득은 2020년보다 4.3% 증가한 4천697만원으로 파악됐다.
공익직불과 수급조절 등 정책효과와 농축산물의 전반적인 가격 상승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KREI는 올해 농업 생산액은 작년보다 3.2% 줄어든 52조2천930억원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 중 재배업 생산액은 0.6% 줄어든 30조3천760억원으로 관측됐다.
과실은 올해 생산성 회복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생산액이 3.7% 감소하고, 채소는 작년 생산액 증가의 기저 효과로 인해 올해 2.1% 줄어들 전망이다.
축잠업 생산액 역시 도축량·생산량 증가에 따른 가격 하락의 여파로 작년보다 6.6% 감소한 21조9천170억원일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농가소득도 작년보다 0.6% 감소한 4천671만원일 것으로 관측됐다.
농가소득 중 농업소득은 축산물 가격 하락에 따른 농업총수입 감소와 농업경영비 증가로 6.9% 줄어들 전망이다.
농외소득은 농업임금 상승과 자본수입 확대로 3.4% 늘어나지만 이전소득은 코로나19 관련 정부 재난지원금 축소 등으로 0.3% 줄어들 것으로 조사팀은 내다봤다.
올해 농가 인구는 223만7천명으로 작년보다 1.7% 감소하지만 농림어업 취업자는 귀농·귀촌 증가 영향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연합뉴스
다만 올해는 축산물 가격 하락으로 농업생산액과 농가소득이 소폭 감소할 전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19일부터 이틀간 온라인으로 열리는 '농업전망 2022' 행사에서 이같이 발표했다.
지난해 농업 생산액은 2020년보다 7.8% 증가한 54조42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중 재배업 생산액은 채소와 과일 가격 상승으로 2.7% 증가했고, 축산업과 양잠업을 합한 '축잠업' 생산액은 한육우, 돼지, 계란값 상승으로 15.3% 늘어났다.
농가 소득은 2020년보다 4.3% 증가한 4천697만원으로 파악됐다.
공익직불과 수급조절 등 정책효과와 농축산물의 전반적인 가격 상승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KREI는 올해 농업 생산액은 작년보다 3.2% 줄어든 52조2천930억원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 중 재배업 생산액은 0.6% 줄어든 30조3천760억원으로 관측됐다.
과실은 올해 생산성 회복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생산액이 3.7% 감소하고, 채소는 작년 생산액 증가의 기저 효과로 인해 올해 2.1% 줄어들 전망이다.
축잠업 생산액 역시 도축량·생산량 증가에 따른 가격 하락의 여파로 작년보다 6.6% 감소한 21조9천170억원일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농가소득도 작년보다 0.6% 감소한 4천671만원일 것으로 관측됐다.
농가소득 중 농업소득은 축산물 가격 하락에 따른 농업총수입 감소와 농업경영비 증가로 6.9% 줄어들 전망이다.
농외소득은 농업임금 상승과 자본수입 확대로 3.4% 늘어나지만 이전소득은 코로나19 관련 정부 재난지원금 축소 등으로 0.3% 줄어들 것으로 조사팀은 내다봤다.
올해 농가 인구는 223만7천명으로 작년보다 1.7% 감소하지만 농림어업 취업자는 귀농·귀촌 증가 영향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