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넉달만에 열차서 또 미사일 발사…신속기동·정확성 과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스칸데르' 표적명중 공개…북한전역 철도기반 발사체계 갖춘듯
북한이 열차에서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작년 9월 이후 두 번째다.
북한은 15일 전날 평북 철도기동 미사일연대의 검열사격 훈련이 있었다면서 이 훈련에서 전술유도탄 2발을 발사해 동해상 표적을 명중했다고 밝혔다.
공개된 사진을 보면 철로 위에 있는 열차에서 'KN-23'(북한판 이스칸데르·북한 전술유도탄 지칭)이 거대한 화염을 내뿜으며 공중으로 솟구쳤다.
북한은 작년 9월 15일에도 같은 방식으로 쐈는데 이를 '철도기동 미사일체계'로 지칭했다.
철도기동 미사일체계는 정차 또는 달리는 열차에서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것으로, 옛 소련에서 개발해 운용한 발사체계와 유사하다.
지난 2017년부터 이 발사체계 개발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작년에는 열차 외관이 붉은색이었으나 이번에는 국방색으로 바뀌어 열차 이동식 발사체계가 양산형임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철도에서 미사일을 쏘는 이 발사체계의 장점은 우선 북한 전역에 촘촘하게 깔린 철도망을 이용해 어느 지역에서든 미사일을 쏠 수 있어 신속 기동성이 높다는 것이다.
탄도미사일을 탑재한 장갑열차를 여객용 열차로 위장할 수 있어 군사위성 등 감시망에 노출될 확률도 낮아진다.
장갑열차에서 미사일을 쏘기 전에 사전 탐지가 어렵다는 측면에서 기습공격 능력을 극대화하고, 그만큼 미사일이 요격망을 피할 개연성도 높아진다.
차륜형 발사대의 제한된 작전반경을 늘릴 수 있고, 열차에 다량의 탄도미사일을 적재해 운송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이동식 발사대를 옮기는 철로가 파괴되면 발사체계가 무력화되는 단점은 있다.
작년 9월 15일에 이어 이번에도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일단 철도기동 미사일체계는 KN-23이 주기종인 것으로 보인다.
KN-23은 발사 후 정점고도를 벗어나 목표물에 근접하면서 상하기동 등 변칙기동 특성이 있다.
가뜩이나 요격이 어려운 이 미사일을 북한 전역의 철도망을 이용해 운용할 경우 한미 미사일방어망을 무력화시킬 수도 있다.
1단으로 이뤄진 KN-23은 고체 연료를 사용해 10∼15분이면 발사할 수 있다.
군 당국은 북한이 KN-23의 사거리를 늘리고 정밀도를 높이면서 풀업(Pull-up·상하기동) 기능도 고도화하는 등 지속해서 개량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번 열차에서 발사도 작년에 이어 KN-23의 표적 타격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낮에 발사해 기종과 표적 명중 모습을 선명하게 보여줘 무력을 과시하려는 의도로도 분석된다.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신종우 전문연구위원은 "새벽 또는 여명이 아닌 대낮 시간대라는 점, 북한 관영매체가 미사일의 선명하고 위력적 모습을 보여준 것은 군사력 과시를 극대화하고 미국의 압박과 제재에 굴하지 않는다는 것을 대내외에 선전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북한도 동해 해상 표적으로 설정한 '알섬'에 미사일이 정확하게 떨어지는 모습을 촬영해 공개했다.
이와 함께 북한이 전역에 깔린 철도를 이용한 미사일 운용체계를 갖춰가고 있는 것도 우려스럽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전국적인 철도기동 미사일 운용체계를 바로 세우고"라고 언급한 것은 북한이 철도기동 미사일연대를 평남, 평북 외에도 전국적으로 편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21세기 군사연구소 류성엽 연구위원은 "이번 발사는 실전 배치 이후의 검열활동일 가능성보다는 실전 배치를 준비하기 위한 시험평가의 일환일 가능성이 더 크다"면서 "발사 영상서 보이는 잘 정리된 철로 등의 양상을 고려하면 (이 미사일 발사체계는) 발사에 필요한 철도시설 정비가 사전에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군 당국은 평북 의주에서 발사된 이번 탄도미사일의 비행거리는 약 430㎞, 고도는 36㎞가량으로 탐지했다고 밝혔다.
11분 간격으로 발사된 2발의 단거리탄도미사일의 최고속도는 마하 6 내외인 것으로 관측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북한은 15일 전날 평북 철도기동 미사일연대의 검열사격 훈련이 있었다면서 이 훈련에서 전술유도탄 2발을 발사해 동해상 표적을 명중했다고 밝혔다.
공개된 사진을 보면 철로 위에 있는 열차에서 'KN-23'(북한판 이스칸데르·북한 전술유도탄 지칭)이 거대한 화염을 내뿜으며 공중으로 솟구쳤다.
북한은 작년 9월 15일에도 같은 방식으로 쐈는데 이를 '철도기동 미사일체계'로 지칭했다.
철도기동 미사일체계는 정차 또는 달리는 열차에서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것으로, 옛 소련에서 개발해 운용한 발사체계와 유사하다.
지난 2017년부터 이 발사체계 개발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작년에는 열차 외관이 붉은색이었으나 이번에는 국방색으로 바뀌어 열차 이동식 발사체계가 양산형임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철도에서 미사일을 쏘는 이 발사체계의 장점은 우선 북한 전역에 촘촘하게 깔린 철도망을 이용해 어느 지역에서든 미사일을 쏠 수 있어 신속 기동성이 높다는 것이다.
탄도미사일을 탑재한 장갑열차를 여객용 열차로 위장할 수 있어 군사위성 등 감시망에 노출될 확률도 낮아진다.
장갑열차에서 미사일을 쏘기 전에 사전 탐지가 어렵다는 측면에서 기습공격 능력을 극대화하고, 그만큼 미사일이 요격망을 피할 개연성도 높아진다.
차륜형 발사대의 제한된 작전반경을 늘릴 수 있고, 열차에 다량의 탄도미사일을 적재해 운송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이동식 발사대를 옮기는 철로가 파괴되면 발사체계가 무력화되는 단점은 있다.
작년 9월 15일에 이어 이번에도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일단 철도기동 미사일체계는 KN-23이 주기종인 것으로 보인다.
KN-23은 발사 후 정점고도를 벗어나 목표물에 근접하면서 상하기동 등 변칙기동 특성이 있다.
가뜩이나 요격이 어려운 이 미사일을 북한 전역의 철도망을 이용해 운용할 경우 한미 미사일방어망을 무력화시킬 수도 있다.
1단으로 이뤄진 KN-23은 고체 연료를 사용해 10∼15분이면 발사할 수 있다.
군 당국은 북한이 KN-23의 사거리를 늘리고 정밀도를 높이면서 풀업(Pull-up·상하기동) 기능도 고도화하는 등 지속해서 개량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번 열차에서 발사도 작년에 이어 KN-23의 표적 타격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낮에 발사해 기종과 표적 명중 모습을 선명하게 보여줘 무력을 과시하려는 의도로도 분석된다.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신종우 전문연구위원은 "새벽 또는 여명이 아닌 대낮 시간대라는 점, 북한 관영매체가 미사일의 선명하고 위력적 모습을 보여준 것은 군사력 과시를 극대화하고 미국의 압박과 제재에 굴하지 않는다는 것을 대내외에 선전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북한도 동해 해상 표적으로 설정한 '알섬'에 미사일이 정확하게 떨어지는 모습을 촬영해 공개했다.
이와 함께 북한이 전역에 깔린 철도를 이용한 미사일 운용체계를 갖춰가고 있는 것도 우려스럽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전국적인 철도기동 미사일 운용체계를 바로 세우고"라고 언급한 것은 북한이 철도기동 미사일연대를 평남, 평북 외에도 전국적으로 편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21세기 군사연구소 류성엽 연구위원은 "이번 발사는 실전 배치 이후의 검열활동일 가능성보다는 실전 배치를 준비하기 위한 시험평가의 일환일 가능성이 더 크다"면서 "발사 영상서 보이는 잘 정리된 철로 등의 양상을 고려하면 (이 미사일 발사체계는) 발사에 필요한 철도시설 정비가 사전에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군 당국은 평북 의주에서 발사된 이번 탄도미사일의 비행거리는 약 430㎞, 고도는 36㎞가량으로 탐지했다고 밝혔다.
11분 간격으로 발사된 2발의 단거리탄도미사일의 최고속도는 마하 6 내외인 것으로 관측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