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 세종] 국립세종수목원서 '다윈난' 꽃 활짝
국립세종수목원 사계절전시온실 내 열대온실에 12일 생태학적으로 가치가 높은 다윈난(Angraecum sesquipedale Thouars) 꽃이 활짝 피었다.

아프리카 동쪽 마다가스카르섬이 원산지인 다윈난은 바위나 수목 수피에 착생해 자라는 난으로, 영국의 생물학자 찰스 다윈이 발견하고 그의 진화론 연구에 단서를 제공해 이런 이름을 가지게 됐다.

다윈은 이 난을 발견하고 여러 종(種)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관계를 통한 진화적 변화, 즉 공진화(共進化)의 연관성으로 30cm 정도의 꿀주머니에 있는 꿀을 먹을 수 있는 곤충이 있을 것으로 추론했다.

다윈 사후 41년 뒤 다윈의 추론대로 20cm 이상의 긴 주둥이를 가진 나방이 마다가스카르에서 발견됐다.

수목원은 두 생물 종이 서로 적응하고 진화하며 공생하는 관계를 맺으며 살아온 공진화의 대표적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픽! 세종] 국립세종수목원서 '다윈난' 꽃 활짝
개화한 다윈난은 사계절전시온실 내 열대온실 입구에서 2주가량 만나볼 수 있다.

(글=이은파 기자, 사진=국립세종수목원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