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 카자흐 휩쓰는 유혈 반정부 시위, 왜 일어났나(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가격상한 폐지에 차량용 LPG값 하루 새 갑절로…높은 인플레도
경제난에 나자르바예프 전 대통령 세력 장기집권 불만이 폭발 중앙아시아 최대 산유국인 카자흐스탄 전국 곳곳에서 새해 벽두부터 대규모 시위가 벌어져 국가 비상사태가 선포되는 등 심각한 혼란이 6일(현지시간)까지 이어지고 있다.
로이터 통신과 BBC 방송 등에 따르면 이번 사태는 카자흐스탄 정부가 이달 초 차량용 액화석유가스(LPG)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고 가격상한제를 폐지한 조처를 계기로 촉발했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시장 자유화로 자국 내 LPG 공급이 더 원활해질 것으로 기대했다.
정부 보조금 지급과 가격상한제 때문에 수익이 나지 않는다는 이유로 셰브런과 엑손 등 외국계 에너지 회사들이 LPG 공급을 꺼리면서 천연가스 생산국이면서도 주기적으로 LPG 부족 현상을 겪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조처는 심각한 부작용을 불렀다.
가솔린이나 디젤보다 저렴해 '빈자들을 위한 차량 연료'로 불리는 LPG 가격이 하루아침에 거의 갑절인 1리터당 120텡게(약 330원)로 뛴 것이다.
시위의 진원지로 꼽히는 카스피해 연안 유전지대 망기스타우주(州)의 경우 LPG가 차량용 연료의 90%를 차지한다.
가뜩이나 카자흐스탄은 연간 물가상승률이 최고 9%에 이를 정도로 심각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해 대중의 분노가 끓어오르는 상황이었는데, LPG 가격 급등을 부른 이번 조처는 불난 데 기름을 부은 격이됐다.
시위대는 "당국이 빈자들을 착취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자원 부국인 카자흐스탄에는 포브스 갑부 순위에 오를 정도의 거부가 다수 있지만, 1천900만 국민의 약 5%에 해당하는 100만 명가량은 빈곤선 아래의 삶을 살고 있다.
특히 처음 시위가 벌어진 망기스타우주 도시 자나오젠은 카스피해 연안 유전 지역에 속해 많은 유전과 가스전이 있지만 월급은 국가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여기에 생필품을 먼 곳에서 수송해와야 해 물가는 다른 지역보다 오히려 높아 주민들의 불만이 컸다.
자나오젠에선 지난 2011년에도 수개월에 걸친 석유산업 종사자들의 파업이 벌어졌다.
당시에도 월급 인상과 노동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시위대에 경찰이 총격을 가해 16명이 숨지고 100여 명이 부상하는 참사가 벌어졌다.
이 같은 경제 문제와 함께 그동안 누적돼온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초대 대통령 세력의 장기집권과 개혁 부진에 대한 국민 불만이 함께 폭발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나자르바예프 전 대통령은 지난 1991년부터 2019년까지 근 30년 동안 장기집권한 뒤 물러났으나 그 뒤로도 국가안보회의 의장직을 유지하고, '국부'(國父) 지위를 누리면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의 형식적 자진 사임 후 국민은 신진 정치 세력의 집권을 기대했으나, 역시 나자르바예프 대통령 측근으로 분류되는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현 대통령이 권력을 승계하면서 이 같은 기대가 무너졌다.
토카예프 대통령의 첫 행보는 전임 대통령을 기려 수도 아스타나의 명칭을 누르술탄으로 개칭하는 것이었으며, 이는 나자르바예프 체제가 유지될 것이란 신호로 받아들여졌다.
실제로 커다란 개혁없는 기존 정치·경제 시스템이 그대로 이어졌고, 최근 2년 동안의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기간에 인플레와 생활고 문제는 더 악화했다.
'경제가 먼저고 그다음이 정치'라는 나자르바예프 체제의 구호가 작동을 멈춘 가운데 개혁의 전망이 보이지 않으면서 주민들의 불만이 고조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번 시위 사태에서 일부 시민들은 큰 정치적 변화만이 실질적 삶의 변화를 이끌 수 있다고 믿으며 '노인은 물러가라'는 구호를 외쳤다.
여전한 정치적 영향력을 가진 나자르바예프를 '노인'으로 부르며 그의 완전한 정치 퇴진을 요구한 것이다.
나자르바예프 전 대통령의 고향인 알마티주(州)에선 5일 그의 동상이 시위대에 의해 끌어내려지기도 했다.
서민들의 분노가 폭발한 결과인 이번 시위는 내각이 총사퇴하고 전국에 비상사태가 선포됐다.
카자흐스탄 최대 도시 알마티에선 수천 명의 시위대가 시청과 대통령 관저 등에 난입하고, 다른 도시에서도 시위대가 관청을 공격하는 등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경찰과 시위대에서 부상자가 속출하고, 진압대원 8명이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시위 참가자도 수십 명이 숨진 것으로 전해졌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전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야간 통금 조처를 내렸다.
토카예프 대통령은 시위를 촉발한 LPG 가격을 당초 수준으로 되돌리도록 지시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소요 사태의 배경에 국제 테러 분자들이 있다며 러시아 등에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옛 소련권 군사·안보 협의체 집단안보조약기구(CSTO)는 카자흐스탄에 평화유지군을 파견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경제난에 나자르바예프 전 대통령 세력 장기집권 불만이 폭발 중앙아시아 최대 산유국인 카자흐스탄 전국 곳곳에서 새해 벽두부터 대규모 시위가 벌어져 국가 비상사태가 선포되는 등 심각한 혼란이 6일(현지시간)까지 이어지고 있다.
로이터 통신과 BBC 방송 등에 따르면 이번 사태는 카자흐스탄 정부가 이달 초 차량용 액화석유가스(LPG)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고 가격상한제를 폐지한 조처를 계기로 촉발했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시장 자유화로 자국 내 LPG 공급이 더 원활해질 것으로 기대했다.
정부 보조금 지급과 가격상한제 때문에 수익이 나지 않는다는 이유로 셰브런과 엑손 등 외국계 에너지 회사들이 LPG 공급을 꺼리면서 천연가스 생산국이면서도 주기적으로 LPG 부족 현상을 겪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조처는 심각한 부작용을 불렀다.
가솔린이나 디젤보다 저렴해 '빈자들을 위한 차량 연료'로 불리는 LPG 가격이 하루아침에 거의 갑절인 1리터당 120텡게(약 330원)로 뛴 것이다.
시위의 진원지로 꼽히는 카스피해 연안 유전지대 망기스타우주(州)의 경우 LPG가 차량용 연료의 90%를 차지한다.
가뜩이나 카자흐스탄은 연간 물가상승률이 최고 9%에 이를 정도로 심각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해 대중의 분노가 끓어오르는 상황이었는데, LPG 가격 급등을 부른 이번 조처는 불난 데 기름을 부은 격이됐다.
시위대는 "당국이 빈자들을 착취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자원 부국인 카자흐스탄에는 포브스 갑부 순위에 오를 정도의 거부가 다수 있지만, 1천900만 국민의 약 5%에 해당하는 100만 명가량은 빈곤선 아래의 삶을 살고 있다.
특히 처음 시위가 벌어진 망기스타우주 도시 자나오젠은 카스피해 연안 유전 지역에 속해 많은 유전과 가스전이 있지만 월급은 국가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여기에 생필품을 먼 곳에서 수송해와야 해 물가는 다른 지역보다 오히려 높아 주민들의 불만이 컸다.
자나오젠에선 지난 2011년에도 수개월에 걸친 석유산업 종사자들의 파업이 벌어졌다.
당시에도 월급 인상과 노동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시위대에 경찰이 총격을 가해 16명이 숨지고 100여 명이 부상하는 참사가 벌어졌다.
이 같은 경제 문제와 함께 그동안 누적돼온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초대 대통령 세력의 장기집권과 개혁 부진에 대한 국민 불만이 함께 폭발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나자르바예프 전 대통령은 지난 1991년부터 2019년까지 근 30년 동안 장기집권한 뒤 물러났으나 그 뒤로도 국가안보회의 의장직을 유지하고, '국부'(國父) 지위를 누리면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의 형식적 자진 사임 후 국민은 신진 정치 세력의 집권을 기대했으나, 역시 나자르바예프 대통령 측근으로 분류되는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현 대통령이 권력을 승계하면서 이 같은 기대가 무너졌다.
토카예프 대통령의 첫 행보는 전임 대통령을 기려 수도 아스타나의 명칭을 누르술탄으로 개칭하는 것이었으며, 이는 나자르바예프 체제가 유지될 것이란 신호로 받아들여졌다.
실제로 커다란 개혁없는 기존 정치·경제 시스템이 그대로 이어졌고, 최근 2년 동안의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기간에 인플레와 생활고 문제는 더 악화했다.
'경제가 먼저고 그다음이 정치'라는 나자르바예프 체제의 구호가 작동을 멈춘 가운데 개혁의 전망이 보이지 않으면서 주민들의 불만이 고조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번 시위 사태에서 일부 시민들은 큰 정치적 변화만이 실질적 삶의 변화를 이끌 수 있다고 믿으며 '노인은 물러가라'는 구호를 외쳤다.
여전한 정치적 영향력을 가진 나자르바예프를 '노인'으로 부르며 그의 완전한 정치 퇴진을 요구한 것이다.
나자르바예프 전 대통령의 고향인 알마티주(州)에선 5일 그의 동상이 시위대에 의해 끌어내려지기도 했다.
서민들의 분노가 폭발한 결과인 이번 시위는 내각이 총사퇴하고 전국에 비상사태가 선포됐다.
카자흐스탄 최대 도시 알마티에선 수천 명의 시위대가 시청과 대통령 관저 등에 난입하고, 다른 도시에서도 시위대가 관청을 공격하는 등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경찰과 시위대에서 부상자가 속출하고, 진압대원 8명이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시위 참가자도 수십 명이 숨진 것으로 전해졌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전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야간 통금 조처를 내렸다.
토카예프 대통령은 시위를 촉발한 LPG 가격을 당초 수준으로 되돌리도록 지시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소요 사태의 배경에 국제 테러 분자들이 있다며 러시아 등에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옛 소련권 군사·안보 협의체 집단안보조약기구(CSTO)는 카자흐스탄에 평화유지군을 파견하기로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