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호황에 한국 조강 생산 7천만t 회복…올해도 '훈풍' 기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익성도 큰 폭 성장…수요 증가·가격 상승 흐름 이어질 듯
지난해 철강업이 유례없는 호황을 누리면서 한국의 조강 생산량이 다시 7천만t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강 생산량 국가 순위는 전년에 이어 6위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2일 세계철강협회와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2021년 1∼10월 한국의 조강 생산량은 5천870만t(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했다.
월평균 생산량은 587만t으로, 월별로 540만∼610만t 사이에서 조금씩 변동이 있었다.
4분기가 전통적인 성수기인 만큼 생산량이 더 늘었을 것을 고려하면 작년 한 해 조강 생산량은 7천만t을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연간 조강 생산량은 2017년 7천100만t, 2018년 7천250만t, 2019년 7천140만t으로 3년 연속 7천만t을 넘겼다.
그러나 2020년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6천71만t에 그쳐 7천만t을 밑돌았다.
철강 산업의 경쟁력을 나타내는 지표인 조강 생산량이 회복된 것은 코로나19 여파로 침체됐던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주요 전방 산업이 살아나면서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코로나19로 인한 급격한 생산 위축으로 재고 수준이 낮아진데다 세계 1위 철강 생산국인 중국이 환경정책 강화에 따라 생산량을 감축하면서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는 상황까지 발생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국내외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코로나19가 심했던 2020년 10∼15%가량 줄였던 생산량이 정상화되는 수준을 넘어 그 이상으로 공장을 가동했다"고 전했다.
한국의 조강 생산량 증가폭은 전 세계(5.9%)와 같은 수준이다.
주요 국가와 비교하면 인도(20.6%), 일본(17.5%), 미국(19.6%)보다는 증가폭이 작았으나 러시아(5.7%)보다는 컸다.
중국은 인위적인 감축 정책으로 유일하게 0.7% 줄었다.
한국의 조강 생산량 국가별 순위는 전년과 마찬가지로 6위를 기록할 전망이다.
1∼5위는 중국, 인도, 일본, 미국, 러시아다.
지난해 철강업계는 생산량뿐만 아니라 수익성 면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뒀다.
철강업계를 대표하는 포스코는 작년 3분기 역대 최대 매출(20조6천400억원)과 영업이익(3조1천200억원)을 달성했다.
포스코의 분기 영업이익이 3조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증권가에선 연간 영업이익이 9조3천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현대제철도 작년 3분기 사상 최대 매출(5조8천602억원)과 영업이익(8천262억원)을 거뒀다.
올해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는 2조5천억원에 이른다.
이는 늘어나는 수요에 맞춰 철광석 가격 인상분을 제품 가격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며 수익성을 끌어올린 덕분이다.
철강사들은 작년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조선용 후판 가격협상에서 t(톤)당 40만원가량의 가격 인상에 성공했다.
자동차용 강판 가격도 하반기 t당 12만원 올리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철강업계는 작년과 같은 수준의 호황까지는 아니더라도 양호한 시장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가전, 조선 등 전방 산업의 수요가 여전히 견조한 가운데 원자재(철광석) 가격이 하락하고 중국의 탄소감축 정책에 따른 생산 억제 기조가 이어지면서 공급 과잉이 완화될 전망이다.
세계철강협회는 올해 철강 수요가 작년 대비 2.2% 증가한 18억9천600만t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철강 수요 증가율(4.5%)보다는 낮지만, 2020년 증가율(0.1%)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철강협회는 최근 보고서에서 "2022년에는 기저효과 축소로 철강 수요 상승 폭이 둔화될 것으로 보이나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대부분 국가에서 2019년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수요가 기대된다"며 "하반기에 접어들면서 철강 가격이 한풀 꺾이고 있지만, 여전히 예년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조강 생산량 국가 순위는 전년에 이어 6위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2일 세계철강협회와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2021년 1∼10월 한국의 조강 생산량은 5천870만t(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했다.
월평균 생산량은 587만t으로, 월별로 540만∼610만t 사이에서 조금씩 변동이 있었다.
4분기가 전통적인 성수기인 만큼 생산량이 더 늘었을 것을 고려하면 작년 한 해 조강 생산량은 7천만t을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연간 조강 생산량은 2017년 7천100만t, 2018년 7천250만t, 2019년 7천140만t으로 3년 연속 7천만t을 넘겼다.
그러나 2020년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6천71만t에 그쳐 7천만t을 밑돌았다.
철강 산업의 경쟁력을 나타내는 지표인 조강 생산량이 회복된 것은 코로나19 여파로 침체됐던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주요 전방 산업이 살아나면서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코로나19로 인한 급격한 생산 위축으로 재고 수준이 낮아진데다 세계 1위 철강 생산국인 중국이 환경정책 강화에 따라 생산량을 감축하면서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는 상황까지 발생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국내외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코로나19가 심했던 2020년 10∼15%가량 줄였던 생산량이 정상화되는 수준을 넘어 그 이상으로 공장을 가동했다"고 전했다.
한국의 조강 생산량 증가폭은 전 세계(5.9%)와 같은 수준이다.
주요 국가와 비교하면 인도(20.6%), 일본(17.5%), 미국(19.6%)보다는 증가폭이 작았으나 러시아(5.7%)보다는 컸다.
중국은 인위적인 감축 정책으로 유일하게 0.7% 줄었다.
한국의 조강 생산량 국가별 순위는 전년과 마찬가지로 6위를 기록할 전망이다.
1∼5위는 중국, 인도, 일본, 미국, 러시아다.
지난해 철강업계는 생산량뿐만 아니라 수익성 면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뒀다.
철강업계를 대표하는 포스코는 작년 3분기 역대 최대 매출(20조6천400억원)과 영업이익(3조1천200억원)을 달성했다.
포스코의 분기 영업이익이 3조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증권가에선 연간 영업이익이 9조3천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현대제철도 작년 3분기 사상 최대 매출(5조8천602억원)과 영업이익(8천262억원)을 거뒀다.
올해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는 2조5천억원에 이른다.
이는 늘어나는 수요에 맞춰 철광석 가격 인상분을 제품 가격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며 수익성을 끌어올린 덕분이다.
철강사들은 작년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조선용 후판 가격협상에서 t(톤)당 40만원가량의 가격 인상에 성공했다.
자동차용 강판 가격도 하반기 t당 12만원 올리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철강업계는 작년과 같은 수준의 호황까지는 아니더라도 양호한 시장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가전, 조선 등 전방 산업의 수요가 여전히 견조한 가운데 원자재(철광석) 가격이 하락하고 중국의 탄소감축 정책에 따른 생산 억제 기조가 이어지면서 공급 과잉이 완화될 전망이다.
세계철강협회는 올해 철강 수요가 작년 대비 2.2% 증가한 18억9천600만t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철강 수요 증가율(4.5%)보다는 낮지만, 2020년 증가율(0.1%)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철강협회는 최근 보고서에서 "2022년에는 기저효과 축소로 철강 수요 상승 폭이 둔화될 것으로 보이나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대부분 국가에서 2019년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수요가 기대된다"며 "하반기에 접어들면서 철강 가격이 한풀 꺾이고 있지만, 여전히 예년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