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엘 메디헤어, 250개 광원서 빛 에너지 나와 모낭세포 자극해 모발성장 촉진
LG 프라엘 메디헤어는 헬멧 형태의 탈모 치료용 의료기기다.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료용 레이저 조사기 3등급에 해당하는 의료기기 허가를 받았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도 가정용 의료기기 수준인 클래스II(Class II) 인가를 획득했다.

일반적으로 모발은 처음 자라나는 성장기에서 모발을 만들어내는 모구부가 퇴화하는 퇴행기를 거친다. 이후 모낭 활동이 멈추는 휴지기로 가면 더 이상 모발이 자라나지 않는다. LG전자는 이런 모발의 성장 흐름에 주목했다. LG 프라엘 메디헤어는 복합 빛 에너지를 활용해 모낭 세포 대사를 활성화하는 ‘저출력 레이저 치료(LLLT)’ 방식으로 탈모 치료에 도움을 준다.

LLLT는 피나스테리드나 두타스테리드와 같은 먹는 약, 미녹시딜과 같은 바르는 약과 같이 안드로겐성 탈모증 치료에 도움을 주는 치료법으로 공인받은 방식이다.

LG전자는 LG 프라엘 메디헤어에 광원 간 간격을 좁혀 빛 도달 면적을 넓히는 독자 개발 광 케어 기술을 적용했다. 정수리, 머리 앞부분 등 탈모가 주로 발생하는 부위에 광원을 집중 배치했다. 레이저(146개)와 LED(104개)를 포함한 총 250개 광원에서 나오는 에너지가 모발 뿌리를 둘러싼 모낭 세포의 대사를 활성화해 모발의 성장을 돕는다. 머리카락 밀도가 감소하는 안드로겐성 탈모의 진행도 늦춰준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LG전자가 성인 남녀 4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 결과에 따르면 LG 프라엘 메디헤어를 27분 모드로 주 3회씩 총 16주간 사용한 참가자들의 모발은 대조군 대비 ㎠당 밀도가 21.64% 증가했다. 모발 굵기도 19.46% 굵어졌다.

LG 프라엘 메디헤어는 △두피 전체를 관리하는 토탈케어 △앞머리와 윗머리를 중점 관리하는 프런트케어 △윗머리와 정수리 부위를 관리하는 탑케어 등 세 가지 모드를 제공한다. 토탈케어 모드의 1회 사용 시간은 27분이다. 주 3회, 30분이 채 되지 않는 시간에 두피 전체를 관리할 수 있다.

이수빈 기자 ls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