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2030년까지 환경기술 개발 방향을 담은 '환경기술개발 추진전략'을 수립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전략으로 현재 미국 등 최고기술국의 81% 수준인 환경기술 수준을 '최고기술국 대비 90%' 수준으로 높이겠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또 개발한 환경기술로 9조원 규모의 사업화 성과도 달성하겠다고 했다.
2011년부터 작년까지 정부 주도로 개발한 환경기술 사업화 성과가 6조7천억원으로 추산되는데 이보다 2조3천억원 많다.
추진전략은 '환경기술 혁신으로 지속가능한 녹색사회 견인'이라는 비전 아래 3개 추진전략과 8개 중점영역, 30개 중점추진사업으로 구성됐다.
'탄소중립 이행기반 마련'이라는 추진전략에는 '기후변화 예측 고도화'와 '온실가스 감축으로 기후변화 완화', '자원순환성 제고를 통한 순환경제 활성화' 등 3개 중점영역이 설정됐다.
구체적으로 폐자원으로 '그린수소'를 생산하고 공급하는 망을 구축하고 '자연기반해법'(NBS)을 활용해 습지 등 신규 탄소 흡수원을 개발하는 한편 물건이 생산돼 소비되는 전 과정에 맞춘 자원순환기술을 개발한다.
'통합물관리 및 생태역량 제고로 녹색인프라 강화' 추진전략엔 '통합물관리를 위한 물순환 및 수생태계 보전', '수자원 및 수재해 관리', '국토환경 생태계 서비스 가치 향상' 등의 중점영역으로 제시됐다.
이를 위해 국가 차원 통합 디지털 물순환 기술을 개발하고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가뭄 관리, 자연생태기반·저영향개발 등 탄소중립도시 실현을 위한 그린 인프라 조성 기술을 만든다.
'환경 안전사회 구축' 추진전략 아래엔 '환경성 질환 및 환경유해인자 스마트 관리'와 '국민체감 청정공기 및 실내 공기질 관리'라는 중점영역이 설정됐다.
빅데이터를 활용해 환경유해인자를 전방위적으로 관리하고 특히 미세플라스틱과 소음, 진동, 빛 등 생활환경 위해 인자는 전(全) 주기 관리에 나선다.
미세먼지 현상규명과 저감기술을 실증하는 한편 오염물질 측정이나 처리 등과 관련한 기술 가운데 외국 의존도가 높은 기술의 국산화도 추진한다.
환경부는 "환경기술 연구개발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지역 거점 클러스터를 활용해 실증에 나서는 등 사업화도 촉진하겠다"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