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본회의 열어 미디어특위 기한 내년 5월말로 연장할 듯
민주, '코로나 대응 3법' 등 처리 제안…국힘은 '공수처 사찰' 법사위 현안질의 주장
여야 '대장동 특검' 협상 평행선…미디어특위 연장 재논의
여야가 27일 대장동 의혹 수사를 위한 특검 협상을 진행했으나 여전히 평행선을 달렸다.

여야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회동해 대장동 특검에 대해 논의했지만, 각자 기존 입장을 되풀이하며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민주당은 절차와 시간 단축을 위해 상설 특검을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국민의힘은 이미 발의한 대장동 특검법안을 법제사법위원회에 상정해 처리해야 한다고 맞섰다.

민주당 윤호중 원내대표는 회동 뒤 기자들과 만나 "중립적인 상설 특검을 임명하기 위해서 본회의에서 특검 임명에 관한 결의안을 처리하자는 입장을 계속 말씀을 드렸고, 야당은 법사위서 특검법 논의하자고 이야기했다"며 "(민주당은) 이재명 특검법으로 특정돼 있는 법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유지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도 특검 도입과 관련해 이같이 논의했다며, "(의견) 접근이 안되고 있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여야는 활동 기한이 올해 12월 31일까지인 국회 언론미디어제도개선 특별위원회(미디어특위)의 기한 연장 문제도 매듭짓지 못했다.

다만, 추가 논의를 통해 오는 30일 본회의를 열어 미디어특위 활동 기한을 연장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 원내대표 측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미디어특위 활동 기한을 5월 말까지로 할 것 같다"며 "그걸 가안으로 30일 본회의를 열려고 협상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원내대표도 "(미디어특위) 해산 전 국회 본회의에서 연장을 의결하면 계속 활동할 수 있다"면서 "특검 도입 문제는 문제대로 계속 논의해 나가더라도 본회의는 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이날 회동에서 소상공인지원법과 코로나19 긴급대응 감염병 기금 설치를 위한 감염병예방법 및 국가재정법 등 코로나19 대응 3법을 처리하자고 야당에 제안했다.

또한 공공기관에 사원이사제를 도입하는 공공기관운용에관한법, 공무원·교원의 타임오프제 도입법, 교통약자보호법 등 여야 대선 후보가 공통으로 약속한 법안 처리의 필요성도 강조했다고 윤 원내대표는 밝혔다.

국민의힘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사찰 의혹'과 관련해 법사위 현안 질의를 통해 경위를 밝히자고 제안했으나, 민주당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김 원내대표는 설명했다.

윤 원내대표는 이와 관련, "공수처의 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국회가 자제해야 할 일이 아닌가 싶다"며 "자세한 내용은 법사위에서 여야 간사가 논의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여야 '대장동 특검' 협상 평행선…미디어특위 연장 재논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