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사진=뉴스1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누구도 제3자적 논평가나 평론가가 돼선 곤란하다"고 밝힌 가운데, 이준석 대표는 "누구나 본인이 속한 조직에서 더 나은 결과를 위한 제언을 하는 게 민주주의라고 생각한다"고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았다. 윤 후보가 이 대표를 직접 언급하진 않았으나, 이 대표가 이에 즉각 반응하면서 또 한 차례 내홍이 감지되는 모양새다.

윤 후보는 27일 오전 중앙선대위 회의에서 "선거가 얼마 남지 않은 비상 상황이고 가장 중요한 시기에 누구도 제3자적 논평가나 평론가가 돼선 곤란하다"고 말했다.

이어 "모든 당원과 선대위 관계자는 정권교체의 의지를 확실히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도 그 정권교체의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며 "국민 지지를 얻어내고 이끌어내는 역할을 스스로 해야 한다. 스스로 (역할을) 찾아서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스스로 한 사람 한 사람이 대선후보라는 생각을 해주시길 부탁드린다"며 "직접 문제를 해결하는 자세를 가져야 하고 국민들을 설득해 지지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당은 상명하복의 하이어라키(체계) 조직이 아니고 당원이 당의 중심"이라며 "당원 누구도 당의 공식 결정과 방침에는 따라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건 당 조직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윤 후보의 이날 발언을 놓고 최근 선대위 사퇴 이후 윤 후보와 선대위에 대한 비판을 제기해 온 이준석 대표를 염두에 둔 게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됐다.

윤 후보는 이날 코로나19 관련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 대표를 향해 작심 발언을 한 것이냐'는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윤 후보는 직접 이 대표를 언급하진 않았지만, 김태흠 의원은 이날 성명서를 내고 이 대표를 명확히 거론했다. 김 의원은 "참다 참다 한마디 한다"며 "당대표는 패널이나 평론가처럼 행동하는 자리가 아니라 무한한 책임이 따르는 자리"라고 했다.

김 의원은 "당대표가 끊임없이 당내 분란을 야기하고 여당을 향해서는 부드러운 능수버들처럼 대하는 걸 어떻게 이해해야 하느냐"며 "철딱서니 없고 오만하고 무책임한 행동을 언제까지 지켜봐야 하느냐"고 했다.

그러자 이 대표는 이날 "누구나 본인이 속한 조직에서 더 나은 결과를 위한 제언을 하는 게 민주주의라고 생각한다"고 페이스북에 글을 남겼다.

그는 "당대표가 당을 위해 하는 제언이 평론 취급받을 정도면 언로는 막혔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며 "평론은 평가에 그치지만 제언은 대안을 담고 있다"고 윤 후보의 발언에 대한 불쾌감을 드러냈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