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간 1만3천명 이상 확진…자영업 매출 급락·학교 등 휴업 반복
"위기 극복 자금 지원 확대·지역 특성 고려한 치료 정책 발굴"
[2022 광주전남] ② 코로나19가 삼킨 2년, 새해에는 달라질까
광주·전남에 첫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한 것은 지난해 2월 4일이었다.

독감처럼 날이 더워지면 호전될 것이라는 바람과 달리 확산세는 잡히지 않았고 우리의 일상을 바꿨다.

비말(침방울)을 통한 직접·접촉 전파에 이어 공기 중에 떠 있는 에어로졸에 의한 감염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당장 버스·지하철 이용객이 20% 이상 줄어들었다.

식당·카페·술집·PC방·노래방 등 자영업자들의 매출이 급락하고 일자리도 줄어들었다.

유치원·어린이집 휴업이 연장되고 학교들도 비대면 수업 전환을 반복해 자녀 돌봄에도 비상이 걸렸다.

한때 품귀 대란을 겪은 마스크는 물과 쌀처럼 필수품이 된 지 오래다.

[2022 광주전남] ② 코로나19가 삼킨 2년, 새해에는 달라질까
지난해 2∼6월까지는 광주·전남 월평균 확진자가 각각 11.2명, 5명이었으나 이후 확진자가 급증했다.

광주에서는 6월 말 방문판매 관련, 8·15 광화문 집회 관련 교회와 유흥업소발, 지난해 말∼올해 초 병원과 종교시설 발 집단감염이 발생했다.

지난해 광주의 확진자 수는 총 1천98명으로 월평균 92.5명에 이른다.

올해는 지난 22일 기준 6천266명(월 522.1명)으로 6배 가까이 늘었다.

올해 9월 927명에서 10월 359명으로 한때 확진자가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으나 단계적 일상 회복(워드 코로나)을 시행한 11월에 938명이 발생했고 이번 달에도 벌써 1천50명이 감염됐다.

전남 역시 지난해 여름부터 지역 내 감염 확산과 함께 확진자 수가 크게 늘었다.

지난해 566명(월 47.1명)이 발생했고 올해는 지난 22일까지 5천127명(월 427.2명)이 발생해 10배가량 늘었다.

[2022 광주전남] ② 코로나19가 삼킨 2년, 새해에는 달라질까
방역 당국은 코로나19 확산과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진단 검사, 백신 예방접종, 집합 제한·금지 행정명령 등을 시행해왔다.

광주시의 경우 올해 감염병 관리 예산으로 약 93억원을 집행했다.

항목별로는 백신 예방 접종 68억7천만원, 생활치료센터 운영비용 14억원, 감염병 관리 지원단 운영비 6억원, 국가 지정 입원 치료 병상 유지비용 2억2천만원, 선별검사소 지원비 1억2천만원 등이다.

전남도도 124억6천만원을 집행했다.

소비 위축으로 자영업자들의 부진이 심화하면서 중앙 정부와 함께 지자체 차원의 소상공인 및 소외계층 지원 정책도 펼쳤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광주전남지역 자영업의 주요 특징 및 향후 과제 보고서(기획금융팀 김재영 과장)'를 통해 올해 광주·전남의 자영업자 대출 규모는 38조5천억원으로, 2019년 말 29조1천억원보다 9조3천억원 늘어 지역 경제 붕괴를 막기 위한 경쟁력 강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2022 광주전남] ② 코로나19가 삼킨 2년, 새해에는 달라질까
광주시는 시민들의 빠른 일상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내년 초 시민 1인당(총 148만명) 10만원씩 지원금을 지급할 방침이다.

코로나19 대응 소상공인 청년 채용,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도 첫 시행을 앞두고 있다.

전남도는 폐업하거나 집합 금지·영업 제한 업종에 종사하는 소상공인의 노란우산공제·사회보험료를 지원하는 등 자금 및 경영 개선 시책을 펼쳐왔으며 내년에도 위기 극복 자금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소상공인 노란우산공제 가입 장려금 지급과 카드수수료 부담 완화를 위해 제로페이 가맹점을 확대하며 소상공인 회생 지원과 재도전 지원 특례 보증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독거노인·의료 취약 지역이 많은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해 '전남형 시설 재택치료' 등 정책을 지속해서 발굴할 것"이라며 "철저한 방역 관리와 안전한 경제 활동을 조화롭게 추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