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파동 여파 미 국방부, 금지활동 목록 갱신
"기밀 접근하는 군인 가세 땐 극단주의 더 위험"
미군, 백인우월주의 '좋아요' 눌렀다간 제재받을 수도
올해 초 의회폭동에 놀란 미국 정부가 군인들의 일탈을 막으려고 극단주의 방지 규범을 강화했다고 AP통신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국방부가 극단주의와 관련해 군인들에게 금지한 활동 목록에는 테러리즘이나 정부 전복 지지, 극단주의 단체를 대표해 모금·집회 활동, 또는 소셜미디어(SNS)상 극단주의 의견에 '좋아요'를 누르거나 공유하기 등이 포함됐다.

존 커비 국방부 대변인은 SNS 활동 제한에 대해 "현실적으로 국방부가 모든 군인의 개인 SNS 계정을 모니터링할 능력은 없다"며 "여러 보고를 거쳐 문제가 드러났을 때 지휘관이 부대와 상의해 추가 조치가 필요할지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새 지침은 문제 발생 때 지휘관들이 해당 활동이 극단주의 활동에 해당하는지, 당사자가 얼마나 그 활동에 참여했는지를 판정하도록 했다.

아울러 국방부는 신병 모집 때에도 극단주의 심사를 확대하고 극단주의 포섭 대상이 될 수 있는 퇴역 군인과 현직 군인들에게 교육을 늘리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올해 1월 연방 의사당 난입사태에 전·현직 군인 수십명이 연루된 것으로 밝혀진 이후 군대 내 극단주의를 뿌리뽑기 위해 고심해왔다.

지난 4월에는 국방부 내 극단주의 대응 등을 감독하는 '극단주의 활동 대응 워킹그룹'(CEAWG)을 만들었다.

AP통신은 군인 상당수가 군사작전 관련 기밀 정보나 국가 안보 정보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군대 내 극단주의가 특히 더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더불어 군인들은 무기와 전술에 익숙하기 때문에 극단주의 세력이 전·현직 군인을 모집하는 동기가 된다고도 설명했다.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은 "서약을 어기고 극단주의 활동에 참여하는 군인은 소수"라면서도 "소수의 행동도 결속력, 사기, 준비태세 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일부 활동으로 인한 물리적인 피해는 국민의 안전까지 해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