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역사박물관, 16일 조보관련 학술세미나
"조선 첫 상업신문 조보는 국가권력에 의해 폐간됐다"
조선시대 상업신문 역할을 한 조보(朝報)가 당시 국가권력(선조)에 의해 강제 폐간되기도 한 것으로 알려져 눈길을 끌고 있다.

13일 영천역사박물관에 따르면 이 박물관이 소장한 조보는 1577년(선조 10년) 8월 민간업자들이 의정부와 사헌부의 허가를 얻어 처음으로 발행했다.

당시 왕실이나 중앙정부의 소식을 활자를 이용해 발행해 매일 신속하게 전달한 최초의 민간신문인 셈이다.

손으로 쓴 필사(筆寫) 신문이 읽기가 어려웠던 것에 비하면 제호(題號)가 조보인 이 인쇄조보는 해서체로 인쇄돼 글자만 알면 쉽게 읽을 수 있어 인기가 높았다.

내용도 다양해 첫 면에는 왕실과 인사이동 소식, 2면에는 당시 행정부였던 육조(六曹) 소식을 실었다.

현재 신문의 사회면에 해당하는 면에는 고급 수입마차 금지령이나 구제역에 따른 국가사업 지장 등과 관련한 소식도 실렸다.

그러나 이 조보는 첫 발행 석 달만인 1577년 11월 "사사로이 역사를 만든다"는 이유로 선조에 의해 폐간됐다.

선조실록 등 기록에는 조보 발행 관련자 30명을 대역죄로 몰아 의금부에 가두고, 고문한 뒤 유배보냈다는 기록이 있다고 박물관 측은 전했다.

또 이 과정에서 양사(兩司·사간원과 사헌부) 관리들이 조보 관계자들을 구하려고 노력하다가 자리에서 물러나기도 했다.

인쇄조보가 중단된 뒤에는 일부에서 발행한 필사 형태의 조보가 명맥을 이어왔다.

육당 최남선은 '고사천자'(古事千字) 등 저술에서 "인쇄조보가 탄압으로 중단되지 않았다면 세계 최초 인쇄신문의 영예를 차지했을 것이다"고 밝히기도 했다.

또 유길준이 쓴 '서유견문'(西遊見聞)에도 조보가 유럽에서 인쇄한 신문보다 이른 시기 발행됐다는 설명이 나온다.

영천역사박물관은 조보와 관련한 세 번째 학술세미나를 오는 16일 박물관에서 연다.

세미나에서는 조보 발견자인 박물관장 지봉 스님이 '민간인쇄조보 제현상의 문제점'에 대해, 경북대 문헌정보학과 남권희 명예교수가 '민간인쇄조보 복원에 대한 고찰'에 대해 주제 발표를 한다.

또 한국학중앙연구원 옥영정 연구원이 '1577년 민간인쇄조보와 16세기 서울의 상업출판'에 대해, 한국국학흥원 권오덕 연구원이 '민간인쇄조보에 사용된 활자와 조선전기 활자의 서체비교'에 대해 발표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