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내년 선거 앞두고 공론화…지역 금융기관 필요성 강조
초기 자본금 3천억원…4개 광역단체에 최소 10개 지점 운영 구상
[톡톡 지방자치]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이번엔 성공할까
인구 550만 명이 넘는 충청권에는 지방은행이 없다.

지역에 연고를 둔 은행이 없다 보니 충남을 비롯한 대전과 세종, 충북 등 4개 광역단체에선 거점 금융기관의 부재에 따른 금융 산업 붕괴, 소득 역외유출, 유동성 확보 어려움 등을 호소하고 있다.

충청권에 처음부터 지방은행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충청은행과 충북은행이 있었지만 1997년 IMF(국제통화기금) 외환 위기 사태를 거치면서 이듬해 6월 두 곳 모두 퇴출됐다.

충청은행은 하나은행에, 충북은행은 신한은행에 각각 합병됐다.

20여 년이 흐르는 사이 이따금 지방은행 설립 논의가 있었지만 이렇다 할 성과는 없었다.

그러나 이번엔 사정이 다르다.

충남도가 내년 대통령선거와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충청권을 연고로 하는 지방은행 설립 카드를 꺼내 들었다.

충남도는 대전·세종·충북과 연대해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사업이 각 정당의 내년 대선·지선에서 충청권 대표 공약에 포함될 수 있도록 연합전선을 구축할 계획이다.

4개 광역단체는 이르면 다음달 초, 늦어도 연내에는 이런 내용을 담은 지방은행 설립 공동추진 협약을 체결할 것으로 1일 전해졌다.

지방은행이 설립되면 지역 기업 자금 조달이 쉬워지고, 조성된 자금을 지역경제 발전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논리를 강조할 방침이다.

현재 충청권은 지역에서 생산된 부가가치가 도내 기업·주민에 분배되지 않고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는 역외유출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톡톡 지방자치]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이번엔 성공할까
2019년 기준 충남의 소득 역외유출 규모는 25조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많았다.

충북 역시 한해 13조원(전국 4위)에 달하는 자금이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과 개인이 부담하는 금융권 이자율은 상대적으로 높고, 공급되는 대출 총량도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통상적으로 수도권을 비롯해 지방은행이 있는 지역은 수신(예금)액보다 여신(대출)액 규모가 더 크지만, 충남도는 반대로 예금액보다 대출액이 10% 더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시중에 공급되는 유동성이 적다는 의미다.

[톡톡 지방자치]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이번엔 성공할까
충청권 지방은행을 설립하면 기본적으로 4개 광역단체를 영업지역으로 두고 본점을 제외한 최소 10개 지점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출범 초기 자본금을 최소 3천억원 규모로 확보하면 최대 3조원대의 금융·대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충남도는 기대했다.

이를 위해 경제단체, 증권사, 출향인 사업가 등을 대상으로 지방은행 설립 취지를 설명하고 참여 의향을 묻고 있다.

주요 출자자가 확보되면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주주모집도 진행할 계획이다.

지방은행이 이른 시일 안에 자생력을 갖추고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4개 광역단체를 비롯해 여러 공공기관의 곳간을 맡기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양승조 충남지사는 "충청권에 지방은행이 없다 보니 자본이 외부로 유출되고 자영업자, 중소기업의 금융 활동에 많은 제약이 발생하고 있다"며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를 지지하는 든든한 버팀목이 될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민선 7기의 막바지 대표 사업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