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화학상에 `비대칭 유기촉매 연구` 리스트·맥밀런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독일의 베냐민 리스트(53·막스 프랑크 연구소)와 미국의 데이비드 맥밀런(53·프린스턴대)이 선정됐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6일(현지시간) `비대칭 유기촉매 반응`이라고 하는 분자를 만드는 정밀한 도구를 개발한 공로로 리스트와 맥밀런에게 노벨 화학상을 주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들 과학자는 상금 1천만 크로나(약 13억5천만원)를 나눠 받는다.

노벨위원회는 두 과학자가 2000년 비대칭 유기촉매 반응 기술을 개발했고 이들이 여전히 이 분야의 선두 주자로 유기촉매가 많은 화학 반응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구자들이 이 유기촉매 기술을 통해 신약 물질부터 태양 빛을 흡수해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에 사용되는 분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물질을 더 효율적으로 만들어 인류에게 큰 혜택을 줬다고 강조했다.

촉매는 자신은 직접 화학반응에 참여하지 않지만 반응을 제어하고 가속하는 작용만 하는 물질을 가리킨다. 우리 몸에도 효소 형태로 수천 개의 촉매가 있다.

과거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촉매로 금속, 효소 등 2가지를 생각했지만 리스트와 맥밀런이 2000년에 독립적으로 제3의 촉매반응이라고 할 수 있는, 유기분자를 기반으로 한 비대칭 유기촉매 반응을 개발하면서 새로운 길이 열렸다.
노벨 화학상에 `비대칭 유기촉매 연구` 리스트·맥밀런
노벨위원회는 "유기촉매는 값싸게 생산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들이 고안해 낸 비대칭 유기촉매 반응은 제약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평가했다.

리스트는 자신의 수상 소식에 "너무 놀랐다"라며 "전혀 예상치 못했다"라고 말했다.

노벨상은 스웨덴 발명가 알프레드 노벨의 뜻에 따라 인류 발전에 큰 공헌한 인물에게 주어지는 권위 있는 상이다.

올해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노벨상 시상식은 지난 4일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물리학상, 화학상까지 발표됐고 7일 문학상, 8일 평화상, 11일 경제학상 수상자가 차례로 공개된다.

(사진=nobelprize 유튜브/노벨위원회 트위터 캡처)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