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월드엑스포 유치 장소인 북항재개발 4천194억원 확보
산단 대개조 1천144억원 등 핵심 사업도 안정적 추진 가능
경부선 철도시설 효율화·수산식품산업 클러스터는 미반영
[2022예산] 부산 국비 8조원 눈앞…역대 최대 규모
부산시는 내년도 정부 예산안 국비 확보액을 자체 집계한 결과 총 예산 7조9천302억원이 반영됐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2021년 정부 예산안 반영액인 7조4천171억원 대비 5천131억원이 증액된 것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환경 분야에선 전기자동차 보급사업(454억원), 수소전기차 구매보조 지원사업(450억원),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190억원) 등이 반영됐다.

연구·개발 분야로는 파워반도체 관련 사업(88억원), 다목적 해상실증 플랫폼 구축(82억원), 친환경 수소 연료 선박 R&D 플랫폼 구축(32억원) 등이다.

부산형 창업 생태계 구축에도 예산이 배정됐다.

유니콘기업 탄생 부산 지역뉴딜 벤처펀드 조성(150억원), 외국인투자 유치 기반 조성(70억원), 디자인 기술 융합 성장 플랫폼 운영(59억원) 등이 관련 예산이다.

국제관광도시 육성사업 추진(100억원), 부산국제아트센터 건립(56억원) 등 문화기반 구축 예산도 포함됐다.

지역 인프라 분야에서는 만덕∼센텀 도시고속화도로 건설에 128억원, 덕천동∼아시아드주경기장 만덕3터널 건설에 67억원, 서면∼사상 중앙버스전용차로에 70억원이 확보됐다.

2030년 월드엑스포 유치 장소인 북항재개발사업 1단계 사업에 4천194억원, 부산 마리나 비즈센터 건립에도 23억원이 각각 배정됐다.

부산시 핵심사업인 산단대개조(1천144억원), 국제관광도시 육성(100억원), 에코델타시티(3천906억원) 등도 국비가 반영돼 안정적인 추진이 가능해졌다.

부산형 뉴딜사업으로 부산 지역뉴딜 벤처펀드 조성(150억원), 서낙동강 수계 수벨트 재생(111억원), 사상공업지역 재생(43억원) 등 관련 예산도 확보됐다.

식만∼사상간 대저대교 건설(240억원), 엄궁대교 건설(96억원), 부산신항∼김해간 고속도로 건설(22억원) 등이 반영돼 부산, 울산, 경남 1시간대 생활권 형성에 탄력을 받게 됐다.

부산시는 정부 예산안에 반영되지 못한 경부선 철도시설 효율화, 수산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 사업도 대응 논리를 개발해 추후 정부 예산에 포함되도록 할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