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수련시설, 청각·언어장애인복지관, 어린이재활의료센터 등 건립
광주시, 장애인 복지 인프라 구축 박차
광주시가 장애인 인권 증진, 치료와 재활, 체육 활동, 치유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장애인 복지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8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장애인회관, 장애인 수련 시설, 청각·언어장애인복지관 건립과 시립장애인종합복지관 재건축, 공공어린이재활의료센터,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 운영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장애인회관은 지난 2018년 기본계획을 수립한 이후 타당성 조사 용역, 지방재정투자심사, 공유재산관리계획 심의 등을 거쳐 현재 설계공모가 진행 중이다.

올해 기본·실시설계에 착수하고 내년 착공, 2023년 완공 예정이다.

총사업비 296억원을 들여 광산구 신창동에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건립되며 작은 도서관, 다목적체육관, 생활문화센터, 회의실 등이 들어선다.

장애인 단체와 기관 간 네트워크, 여가·소통, 취업, 의료 등 종합 기능을 수행한다.

영화 '도가니' 실제 무대로 유명한 옛 인화학교 부지에는 장애인 수련시설이 들어선다.

371억3천만원을 투입해 숙박, 회의, 문화, 체육, 치유 시설을 마련하며 2023년 준공된다.

특히 인권 기념관, 장애 체험교육장 등을 갖춰 장애인 인권 신장과 장애 인식 개선 공간으로 활용된다.

청각·언어장애인복지관은 북구 옛 근로청소년복지회관 부지에 건립된다.

92억7천만원을 투입해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청각·언어장애인을 위한 교육, 재활, 치료, 돌봄 시설을 갖춘다.

9월 기본·실시설계 용역에 착수해 2023년까지 공사가 진행된다.

북구 시립장애인종합복지관은 299억원을 들여 재건축한다.

시는 공공어린이재활의료센터와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를 운영, 장애인 맞춤형 치료·재활에도 나선다.

공공어린이재활의료센터는 보건복지부 공모에 선정돼 2024년 개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72억원을 들여 재활 치료, 의료서비스는 물론 학교와 사회 복귀를 지원한다.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는 지역 건강보건관리사업 연계·조정 기관으로 검진·재활 등 의료서비스 제공, 여성장애인 지원, 의료종사자 교육 등 역할을 수행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