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질유산연구소, 중생대 백악기 신종 물갈퀴 새발자국 화석 규명
"사천 비토섬 새 발자국 화석 가장 오래된 1억1천만년 전 흔적"
경남 진주교육대학교 부설 한국지질유산연구소는 사천 비토섬의 물갈퀴 새 발자국 화석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백악기 연구'에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논문 제목은 '한국 사천시 진주층에서 발견된 새 발자국(신종 이그노토오르니스 승조서아이)에 대한 최초 보고'다.

국제 학계에 보고된 새 발자국 화석은 경남 사천시 서포면 비토섬 내 해안가에서 발견된 것으로 약 1억1천만년 전에 살았던 조류가 남긴 흔적이다.

연구소는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9종의 새 발자국 화석들은 모두 7천만 년∼1억년 전 새들의 발자국 화석이라고 소개했다.

하지만 비토섬의 새 발자국 화석은 그보다 오래된 1억1천만년 전에 살았던 새 발자국 화석으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새 발자국 화석 기록이라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특히 비토섬 새 발자국 화석은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 흔적이 남아 있는 새 발자국 화석이다.

비토섬 새 발자국 화석은 중생대 쥐라기 후기에 시조새가 처음 출현한 이후로 새들이 진화를 거듭하면서 1억1천만년 전에 물가에 적응한 것을 보여준다.

"사천 비토섬 새 발자국 화석 가장 오래된 1억1천만년 전 흔적"
비토섬에서는 물갈퀴 새 발자국 화석과 진동새 발자국 화석(진동오르니페스)도 함께 발견됐다.

진동새 발자국 화석은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 진동층(9천만년 전)에서 발견돼 알려졌는데 1억1천만년 전 지층에서 발견돼 기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비토섬 새 발자국 화석은 2013년 진주교육대학교 석사과정에 재학 중이던 강승협 씨가 발견했다.

발굴조사를 거쳐 현재 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기념물센터에 보관돼 있다.

이번 연구는 한국, 캐나다, 미국의 연구진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로 진행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