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방송 KBS가 4·7 재·보궐선거에서 편향된 보도를 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민의힘 미디어 특별위원회는 KBS가 지난 재보선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의 내곡동 땅 의혹에 대해서는 19건을 보도한 것과 달리 박영선 후보의 도쿄 아파트 관련 의혹에 대해서는 1건만 보도했다고 30일 발표했다.

30일 국민의힘 미디어 특위에 따르면 KBS는 지난 재보선에 당시 오 후보의 내곡동 땅 의혹에 대해서 3월 19일부터 선거 전인 4월 5일까지 18일간 19건의 보도를 했다. 사실상 매일 오 후보의 내곡동 땅 의혹 관련 기사를 낸 것이다. 이 중 7건을 단독 보도했으며, 단독 보도 내용에는 '내곡동 땅 측량 입회 서명은 큰 처남 아닌 장인', '吳 큰 처남, 측량 때문에 못 갔다던 대학원 행사에 처음부터 참석한 듯' 등의 내용을 포함해 '오세훈 "본질은 투기 여부"…민주 '吳사퇴' 총공세' 등 더불어민주당의 입장을 담은 기사들도 있었다.

이에 반해 박 후보 관련 의혹 보도는 한 건에 그쳤다는 것이 국민의힘의 주장이다. 그 마저도 '물고 물리는 '내곡동 땅'…'LH 사태'가 부른 부동산 선거'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이 박 후보의 도쿄 아파트 관련 의혹을 제기한 내용이 일부 포함됐을 뿐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국민의힘 미디어 특위 관계자는 "KBS는 서울시장 선거 보도농단 등 편파보도를 일삼고, 노골적으로 정부여당을 홍보하며 정권 나팔수 역할을 자행해왔다"며 "KBS가 공영방송이 아니라 민주당 방송으로 전락했다는 국민적 비난이 하늘을 찌르고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미디어 특위는 KBS가 수신료를 월 2500원에서 3800원으로 50% 넘게 인상하려는 것에 대해서도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KBS는 이날 이사회를 열고 수신료 인상안을 의결할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 특위 관계자는 "KBS 임직원들이 국민 혈세로 배 불리는 과정에서 발생한 적자와 출혈을 왜 국민이 짊어져야 하느냐"면서 "국민에게 손 벌리기 전에 자구책을 마련하는 것이 급선무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어 "국민이 KBS에 바라는 것은 공영방송다운 엄정한 정치적 중립의 의무 준수 그리고 잃어버린 신뢰 회복을 위한 강도 높은 구조조정 방안"이라며 "그런 노력도 없이 수신료 인상을 강요하는 행위는 국민 우롱"이라고 반발했다.

이동훈 기자 lee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