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서 CCU 혁신 로드맵 수립
2050년까지 CO₂포집비용 1t당 20달러 수준으로 절감 목표

정부가 온실가스의 주범인 이산화탄소(CO₂)를 활용해 2030년까지 화합물이나 생물 등 유용한 물질 14종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5일 임혜숙 장관 주재로 제18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혁신 로드맵'과 '바이오헬스 규제과학 발전전략'을 토론안건으로 상정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로 만든 산업원료·제품 14종 확보 추진
CCU는 발전소나 각종 공장 등 온실가스 배출원에서 나오는 CO₂를 포집한 뒤 이를 자원화하거나 에탄올이나 메탄올 등 화학산업 원료 또는 생물 등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전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흡수해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이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우리나라도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CO₂감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날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CCU 기술혁신 로드맵'은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전환하는 CCU 상용제품 14개를 확보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정부는 CO₂포집, 화학전환, 생물전환, 광물탄산화, 기타 탄소 등 5대 분야에서 59개 중점기술을 선정했다.

이중 특히 핵심기술을 확립한 CO₂포집 비용은 현재 1t당 60∼70 달러 수준에서 2050년까지 1t당 20 달러 수준으로 낮출 계획이다.

2023년부터는 연 1천억원 이상 규모의 'CCU 3050 핵심기술 개발 사업'(가칭)에도 착수해 2010∼2019년 총 4천600억원가량에 불과했던 정부 R&D 규모도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소규모로 추진 중인 CO₂포집·전환 공정 실증도 중·대규모로 격상해 현장 적용에 속도를 내고, 기업들에 R&D 세액공제와 정부 R&D 매칭 비율 완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로드맵이 2030년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과 2050년 탄소중립을 실현해 나가는 중요한 이정표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료 혁신제품의 시장진입을 돕고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바이오헬스 규제과학 발전전략(안)'도 이날 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됐다.

이번 전략은 규제과학 개념 정립과 확산, 국가 R&D 파트너십 강화, 혁신기술 기반 규제과학 연구 고도화, 규제역량 강화 플랫폼 구축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바이오헬스 제품화를 목적으로 하는 신규 국가 R&D 사업에는 기획 단계부터 적용 가능한 규제기준을 도입하고 규제기관이 공동연구에 함께 참여한다.

또한 혁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규제과학 연구 고도화도 수행한다.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로 만든 산업원료·제품 14종 확보 추진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