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은 미얀마 군부 편? "유엔결의안 무기금수조항 삭제 요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매체 보도…인권단체 "군부 유혈진압 막을 알맹이 빼려는 수치스러운 행동"
미얀마 쿠데타 사태를 해결하겠다던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이 오히려 미얀마 군부 편을 드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미국 지원을 받는 온라인 매체 '자유아시아방송'(RFA) 자회사인 베나르 뉴스는 28일 미얀마를 제외한 아세안 9개 회원국이 유엔 결의안의 무기 금수조치 조항을 빼 달라고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결의안을 발의한 리히텐슈타인의 게오르그 슈파르버 주유엔 부(副)대표는 베나르 뉴스와의 전화 통화에서 아세안측이 해당 결의안에 이름을 올린 국가들에 서한을 보내 이같이 요청했다고 밝혔다.
다만 슈파르버 부대표는 이 서한 사본을 공개하는 것은 거부했다.
미얀마 군부를 상대로 한 무기 및 군수품의 즉각적 금수조치와 함께 국제사회의 행동을 촉구하는 유엔총회 결의안은 리히텐슈타인이 발의했고, 48개 국가가 함께 이름을 올렸다고 매체는 전했다.
결의안은 애초 지난 18일 표결에 부쳐질 예정이었지만 연기됐다.
결의안을 지지한 국가 중 한 곳의 고위 관계자는 매체에 아세안 9개국이 자신들이 미얀마 위기 해결을 주도해야 한다고 믿기 때문에 결의안 초안의 개정을 원했다고 언급했다.
아세안측이나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주유엔 대표 그리고 인도네시아 외교부는 확인 요청에 아무런 대답을 하지 않았다고 매체는 전했다.
이와 관련, 국제인권단체인 휴먼라이츠워치(HRW)의 필 로버트슨 아시아 담당 부국장은 "솔직히 아세안은 미얀마 국민에 대한 군부의 폭력을 중단시키기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유엔 총회 결의안의 알맹이를 빼려 노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아세안 정부들에 의한 수치스러운 작업"이라고 덧붙였다.
미얀마 전문가인 호주 출신 정치분석가 헌터 마스턴은 내정 불간섭이라는 원칙을 가진 아세안이 '무기 금수조치' 요구를 회원국 내부 문제에 대한 간섭으로 보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앞서 아세안은 지난달 24일 자카르타에서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최고사령관이 참석한 가운데 미얀마 사태를 논의하기 위한 특별정상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는 즉각적 폭력중단과 아세안 특사 및 대표단 파견 등 5개 합의사항이 나왔지만, 한 달이 넘도록 아세안은 아무 후속 조치를 내놓지 않으면서 비판이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지원을 받는 온라인 매체 '자유아시아방송'(RFA) 자회사인 베나르 뉴스는 28일 미얀마를 제외한 아세안 9개 회원국이 유엔 결의안의 무기 금수조치 조항을 빼 달라고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결의안을 발의한 리히텐슈타인의 게오르그 슈파르버 주유엔 부(副)대표는 베나르 뉴스와의 전화 통화에서 아세안측이 해당 결의안에 이름을 올린 국가들에 서한을 보내 이같이 요청했다고 밝혔다.
다만 슈파르버 부대표는 이 서한 사본을 공개하는 것은 거부했다.
미얀마 군부를 상대로 한 무기 및 군수품의 즉각적 금수조치와 함께 국제사회의 행동을 촉구하는 유엔총회 결의안은 리히텐슈타인이 발의했고, 48개 국가가 함께 이름을 올렸다고 매체는 전했다.
결의안은 애초 지난 18일 표결에 부쳐질 예정이었지만 연기됐다.
결의안을 지지한 국가 중 한 곳의 고위 관계자는 매체에 아세안 9개국이 자신들이 미얀마 위기 해결을 주도해야 한다고 믿기 때문에 결의안 초안의 개정을 원했다고 언급했다.
아세안측이나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주유엔 대표 그리고 인도네시아 외교부는 확인 요청에 아무런 대답을 하지 않았다고 매체는 전했다.
이와 관련, 국제인권단체인 휴먼라이츠워치(HRW)의 필 로버트슨 아시아 담당 부국장은 "솔직히 아세안은 미얀마 국민에 대한 군부의 폭력을 중단시키기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유엔 총회 결의안의 알맹이를 빼려 노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아세안 정부들에 의한 수치스러운 작업"이라고 덧붙였다.
미얀마 전문가인 호주 출신 정치분석가 헌터 마스턴은 내정 불간섭이라는 원칙을 가진 아세안이 '무기 금수조치' 요구를 회원국 내부 문제에 대한 간섭으로 보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앞서 아세안은 지난달 24일 자카르타에서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최고사령관이 참석한 가운데 미얀마 사태를 논의하기 위한 특별정상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는 즉각적 폭력중단과 아세안 특사 및 대표단 파견 등 5개 합의사항이 나왔지만, 한 달이 넘도록 아세안은 아무 후속 조치를 내놓지 않으면서 비판이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