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플랫폼 몸값 '껑충'…대기업 너도나도 러브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브랜디, 투자 유치액 550억 달해
지그재그는 카카오 자회사 편입
유행주기·유통구조 독자성 강점
지그재그는 카카오 자회사 편입
유행주기·유통구조 독자성 강점
전문성을 구축한 패션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각광받고 있다. 패션산업의 특수성으로 종합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넘볼 수 없는 시장이 형성되면서다. 이에 패션 플랫폼들의 투자 유치 및 매각이 활발해지고 있다.
브랜디가 산업은행에서 100억원 규모 투자를 유치했다고 지난 16일 발표했다. 2014년 설립된 브랜디는 여성 패션 플랫폼 ‘브랜디’, 남성 패션 플랫폼 ‘하이버’, 패션 쇼핑몰 지원 서비스 ‘헬피’를 운영한다. 브랜디는 이번 투자로 제2 풀필먼트 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브랜디는 국내 최초로 동대문 패션시장 거점에 2200평 규모의 제1 풀필먼트 센터를 지었다. 제2 풀필먼트 센터를 완공하면 브랜디 풀필먼트 센터는 총 4000평 규모가 된다.
이번 투자로 누적 투자액은 550억원을 달성했다. 브랜디는 지난해 9월 네이버로부터 100억원을 유치했다. 서정민 브랜디 대표는 “도매상, 판매자, 소비자를 연결한 ‘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동대문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지그재그를 운영하는 크로키닷컴은 카카오를 최대주주로 맞이한다. 크로키닷컴은 카카오커머스에서 인적분할된 스타일사업부문과 합병해 카카오 본사의 자회사로 편입될 예정이다. 크로키닷컴은 2015년 출시한 지그재그를 운영하는 스타트업이다. 지그재그는 4000곳 이상 온라인 쇼핑몰과 패션 브랜드를 모아 제공하는 모바일 서비스로, 20~30대 여성 사이에서 인기를 끌며 지난해 7500억원 거래액을 달성했다.
더블유컨셉은 신세계그룹에 매각됐다. 신세계그룹의 종합 전자상거래 플랫폼 SSG닷컴이 더블유컨셉 최대주주 사모펀드 운용사 IMM 프라이빗에쿼티(PE)를 대상으로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 더블유컨셉은 개인 디자이너 브랜드가 강점인 여성 의류 전문 온라인 편집몰이다.
패션 플랫폼이 주목받는 이유는 패션산업의 독자성 때문이다. 패션산업은 유행 주기·유통구조 등 자신만의 특수한 영역이 있어 종합 플랫폼이 함부로 뛰어들 수 없다. 대신 대기업은 패션 플랫폼을 인수하거나 투자하는 방법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정보기술(IT)업계 관계자는 “대기업은 직접 플랫폼을 키우기보다 기존 플랫폼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전략을 짜고 있다”며 “기존 플랫폼의 몸값이 더욱 뛸 것”이라고 말했다.
구민기 기자 kook@hankyung.com
브랜디가 산업은행에서 100억원 규모 투자를 유치했다고 지난 16일 발표했다. 2014년 설립된 브랜디는 여성 패션 플랫폼 ‘브랜디’, 남성 패션 플랫폼 ‘하이버’, 패션 쇼핑몰 지원 서비스 ‘헬피’를 운영한다. 브랜디는 이번 투자로 제2 풀필먼트 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브랜디는 국내 최초로 동대문 패션시장 거점에 2200평 규모의 제1 풀필먼트 센터를 지었다. 제2 풀필먼트 센터를 완공하면 브랜디 풀필먼트 센터는 총 4000평 규모가 된다.
이번 투자로 누적 투자액은 550억원을 달성했다. 브랜디는 지난해 9월 네이버로부터 100억원을 유치했다. 서정민 브랜디 대표는 “도매상, 판매자, 소비자를 연결한 ‘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동대문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지그재그를 운영하는 크로키닷컴은 카카오를 최대주주로 맞이한다. 크로키닷컴은 카카오커머스에서 인적분할된 스타일사업부문과 합병해 카카오 본사의 자회사로 편입될 예정이다. 크로키닷컴은 2015년 출시한 지그재그를 운영하는 스타트업이다. 지그재그는 4000곳 이상 온라인 쇼핑몰과 패션 브랜드를 모아 제공하는 모바일 서비스로, 20~30대 여성 사이에서 인기를 끌며 지난해 7500억원 거래액을 달성했다.
더블유컨셉은 신세계그룹에 매각됐다. 신세계그룹의 종합 전자상거래 플랫폼 SSG닷컴이 더블유컨셉 최대주주 사모펀드 운용사 IMM 프라이빗에쿼티(PE)를 대상으로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 더블유컨셉은 개인 디자이너 브랜드가 강점인 여성 의류 전문 온라인 편집몰이다.
패션 플랫폼이 주목받는 이유는 패션산업의 독자성 때문이다. 패션산업은 유행 주기·유통구조 등 자신만의 특수한 영역이 있어 종합 플랫폼이 함부로 뛰어들 수 없다. 대신 대기업은 패션 플랫폼을 인수하거나 투자하는 방법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정보기술(IT)업계 관계자는 “대기업은 직접 플랫폼을 키우기보다 기존 플랫폼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전략을 짜고 있다”며 “기존 플랫폼의 몸값이 더욱 뛸 것”이라고 말했다.
구민기 기자 k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