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무장애 시설 전국 최하위권…"이동·접근권 확보 시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산연구원은 20일 보고서를 내 초고령사회 진입을 대비해 무장애 도시(Barrier-Free)로 전환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부산연구원은 대형 국제행사를 자주 개최하는 부산은 모든 사람의 보행, 관광, 교통 등 편의를 높이는 도시 환경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9월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돼 노인 인구를 배려하는 무장애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2030부산월드엑스포를 유치하면 5천만명 이상이 부산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돼 장애인, 고령자, 영유아 동반자 등 관광 약자를 위한 무장애 환경도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부산은 2015년에 '부산광역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지원 조례'가 제정됐으나 무장애 시설은 전국 최하위권이다.
지난 3월 기준 시도별 무장애인증시설에서 부산은 98건으로 경기도(516건)와 5배 이상 차이가 났다.
도시 규모와 인구를 고려하면 최하위권이다.
공동주택인증에서 부산은 1건도 없으며 40만여 개 부산 건축물 중 무장애 본인증을 받은 곳은 93개에 불과하다.
보고서를 작성한 윤지영 연구위원은 "무장애환경은 단순히 장애인, 고령자뿐만 아니라 전 인구에 도움이 되는 환경개선"이라며 "시민 인식 전환, 무장애환경 제도 도입, 무장애환경 서비스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대중교통 이용과 공공건물의 이동과 접근이 제약된 사회적 약자를 고려해 접근성 정보를 제공하는 앱 지도 개발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부산연구원은 대형 국제행사를 자주 개최하는 부산은 모든 사람의 보행, 관광, 교통 등 편의를 높이는 도시 환경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9월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돼 노인 인구를 배려하는 무장애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2030부산월드엑스포를 유치하면 5천만명 이상이 부산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돼 장애인, 고령자, 영유아 동반자 등 관광 약자를 위한 무장애 환경도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부산은 2015년에 '부산광역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지원 조례'가 제정됐으나 무장애 시설은 전국 최하위권이다.
지난 3월 기준 시도별 무장애인증시설에서 부산은 98건으로 경기도(516건)와 5배 이상 차이가 났다.
도시 규모와 인구를 고려하면 최하위권이다.
공동주택인증에서 부산은 1건도 없으며 40만여 개 부산 건축물 중 무장애 본인증을 받은 곳은 93개에 불과하다.
보고서를 작성한 윤지영 연구위원은 "무장애환경은 단순히 장애인, 고령자뿐만 아니라 전 인구에 도움이 되는 환경개선"이라며 "시민 인식 전환, 무장애환경 제도 도입, 무장애환경 서비스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대중교통 이용과 공공건물의 이동과 접근이 제약된 사회적 약자를 고려해 접근성 정보를 제공하는 앱 지도 개발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