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 관계자는 언론 인터뷰서 "AZ 백신과 드물게 보고된 혈전증 간 연관성 있다" 언급

EMA, AZ백신 접종후 희귀혈전 사례 평가 계속…"아직 결론 안나"(종합)
유럽의약품청(EMA)이 6일(현지시간) 다국적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뒤 보고된 매우 드문 혈전 사례와 관련, 검토가 계속 진행 중이며 아직 결론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전했다.

EMA 대변인은 로이터에 안전성위원회는 아직 결론에 도달하지 않았으며 오는 7일 혹은 8일에 검토가 마무리되는 대로 브리핑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EMA는 AFP에도 안전성위원회가 "아직 결론에 도달하지 않았으며 현재 검토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EMA의 이 같은 설명은 이날 이 기관의 고위 인사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매우 드물게 보고된 특이 혈전증과 인과 관계가 있다는 취지의 언급을 한 뒤 나왔다.

EMA의 백신 전략 책임자인 마르코 카발레리는 이날 발행된 이탈리아 일간 일 메사제로와의 인터뷰에서 "AZ 백신과 매우 드물게 보고된 특이 혈전증과의 인과 관계가 없다고 말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내 의견으로는 (이 증상이) 백신과 관련이 있다는 게 명백하다"면서도 "무엇이 이런 반응을 일으켰는지는 여전히 알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EMA)는 향후 몇 시간 안에 이를 밝힐 것"이라고 부연했다.

카발레리는 "우리는 현재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고 백신에 따른 이 증후군을 세부적으로 정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평가 작업이 마무리되려면 아직 멀었다"고 말했다.

EMA는 지난달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이 혈전의 전체적인 위험 증가와 관련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다만,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파종성혈관내응고장애(DIC)와 뇌정맥동혈전증(CVST) 등 특이 혈전과 관련해서는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EMA는 추가 분석과 함께 안전성위원회 평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날부터 9일까지 이어지는 안전성위원회 전체 회의 기간 이와 관련한 최신 권고를 내놓을 예정이다.

EMA는 코로나19 예방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이익이 부작용의 위험성보다 크다고 거듭 밝히고 있다.

하지만, 혈전증 사례가 계속 나오면서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그치지 않고 있다.

최근 유럽 일부 국가에서는 60세 미만에 대해 AZ 백신 접종을 제한하거나 다른 백신과의 교차 접종을 권고하고 있으며, 영국도 젊은 층에 접종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