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올해 세계경제 6.0% vs 한국 3.6% 성장전망…"코로나 효과"(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 올해 코로나 위기 이전 GDP 상회 예상"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이 우리나라 성장률을 크게 웃돌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주요 국가들이 큰 폭의 역성장을 기록한 반면 우리나라는 코로나19에 따른 국내총생산(GDP) 충격에 선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IMF)은 이날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EO)에서 올해 세계 경제가 6.0%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 1월 발표한 직전 전망치(5.5%)보다 0.5%포인트 올라간 수치다.
선진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5.1%, 신흥·개도국은 6.7%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한국 역시 올해 경제에 대한 눈높이는 높아졌으나 성장 전망치 자체는 3.6%로 비교적 낮게 제시됐다.
이는 세계 성장률 전망치를 2.4%포인트 밑도는 수준이다.
미국(6.4%)이나 프랑스(5.8%), 영국(5.3%), 중국(8.4%) 등 개별 국가와 비교하면 차이는 더욱 벌어진다.
그러나 이는 우리나라 경제가 지난해 코로나19 충격을 상대적으로 잘 막아냈기 때문이라는 것이 기재부의 설명이다.
지난해 성장률이 큰 폭으로 꺾인 나라일수록 올해 성장률이 큰 폭으로 반등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선진국 그룹의 경우 지난해 -4.7% 역성장을 기록한 뒤 올해 5.1% 성장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유로존도 올해 성장률 전망치 자체는 4.4%로 우리나라보다 높지만, 지난해 성장률이 -6.6%에 그치면서 실제로는 2019년 GDP 수준을 회복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1.0% 역성장 이후 올해 3.6% 성장이 전망됐다.
2019년 GDP 규모를 100으로 놓고 생각할 때 우리나라 올해 GDP는 102.6으로 코로나 위기 이전 수준을 상회하게 된다.
올해 주요 20개국(G20) 중 2019년 GDP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 선진국은 미국과 한국, 호주 등 3개국뿐이었다.
박민주 기재부 국제통화팀장은 "상당수 다른 나라의 경우 지난해 큰 폭의 GDP 위축을 경험하면서 올해 그 반사효과로 높은 성장률이 전망됐다"며 "우리는 지난해 경제 위축을 최소화한 데 이어 올해도 안정적인 회복세를 이어갈 전망"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세계 경제가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하는 것도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특히 가장 큰 수출 대상국인 미국과 중국이 견조한 성장 흐름을 보이면서 향후 수출 회복세는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기재부는 내다봤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IMF가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부양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주요 교역 국가로의 상당한 파급효과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며 "우리나라는 미국 수출 비중이 약 15%에 달하는 만큼 미국 경제의 강한 회복흐름은 우리 경기회복에 유리한 여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주요 교역 국가와의 수출 흐름을 가속화하는 등 세계 경제의 업턴(호전) 기회를 적극적으로 포착, 활용하기 위한 노력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IMF는 지난달 발표한 연례협의 보고서에서 올해 주요국 경제 회복과 추경 효과 등을 반영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대비 0.5%포인트 높인 3.6%로 상향한다고 밝혔다.
이는 정부 전망치(3.2%)는 물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3.3%)와 한국은행(3.0%) 등 주요 기관 전망치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다만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8%로 종전 전망치 대비 0.1%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연합뉴스
지난해 주요 국가들이 큰 폭의 역성장을 기록한 반면 우리나라는 코로나19에 따른 국내총생산(GDP) 충격에 선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IMF)은 이날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EO)에서 올해 세계 경제가 6.0%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 1월 발표한 직전 전망치(5.5%)보다 0.5%포인트 올라간 수치다.
선진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5.1%, 신흥·개도국은 6.7%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한국 역시 올해 경제에 대한 눈높이는 높아졌으나 성장 전망치 자체는 3.6%로 비교적 낮게 제시됐다.
이는 세계 성장률 전망치를 2.4%포인트 밑도는 수준이다.
미국(6.4%)이나 프랑스(5.8%), 영국(5.3%), 중국(8.4%) 등 개별 국가와 비교하면 차이는 더욱 벌어진다.
그러나 이는 우리나라 경제가 지난해 코로나19 충격을 상대적으로 잘 막아냈기 때문이라는 것이 기재부의 설명이다.
지난해 성장률이 큰 폭으로 꺾인 나라일수록 올해 성장률이 큰 폭으로 반등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선진국 그룹의 경우 지난해 -4.7% 역성장을 기록한 뒤 올해 5.1% 성장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유로존도 올해 성장률 전망치 자체는 4.4%로 우리나라보다 높지만, 지난해 성장률이 -6.6%에 그치면서 실제로는 2019년 GDP 수준을 회복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1.0% 역성장 이후 올해 3.6% 성장이 전망됐다.
2019년 GDP 규모를 100으로 놓고 생각할 때 우리나라 올해 GDP는 102.6으로 코로나 위기 이전 수준을 상회하게 된다.
올해 주요 20개국(G20) 중 2019년 GDP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 선진국은 미국과 한국, 호주 등 3개국뿐이었다.
박민주 기재부 국제통화팀장은 "상당수 다른 나라의 경우 지난해 큰 폭의 GDP 위축을 경험하면서 올해 그 반사효과로 높은 성장률이 전망됐다"며 "우리는 지난해 경제 위축을 최소화한 데 이어 올해도 안정적인 회복세를 이어갈 전망"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세계 경제가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하는 것도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특히 가장 큰 수출 대상국인 미국과 중국이 견조한 성장 흐름을 보이면서 향후 수출 회복세는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기재부는 내다봤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IMF가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부양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주요 교역 국가로의 상당한 파급효과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며 "우리나라는 미국 수출 비중이 약 15%에 달하는 만큼 미국 경제의 강한 회복흐름은 우리 경기회복에 유리한 여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주요 교역 국가와의 수출 흐름을 가속화하는 등 세계 경제의 업턴(호전) 기회를 적극적으로 포착, 활용하기 위한 노력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IMF는 지난달 발표한 연례협의 보고서에서 올해 주요국 경제 회복과 추경 효과 등을 반영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대비 0.5%포인트 높인 3.6%로 상향한다고 밝혔다.
이는 정부 전망치(3.2%)는 물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3.3%)와 한국은행(3.0%) 등 주요 기관 전망치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다만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8%로 종전 전망치 대비 0.1%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