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는 종의 능력에 따라 한 사람에게는 5 달란트를 주고 또 한 사람에게는 2 달란트를 주고 또 다른 한 사람에게는 1 달란트를 주고 떠난다.
5 달란트를 받은 사람은 그 돈을 활용하여 5 달란트를 더 벌고 2 달란트를 받은 사람도 열심히 노력해서 2 달란트를 더 벌었다.
그러나 1 달란트를 받은 사람은 겁이 나서 그 돈을 고스란히 땅에 묻어두었다.
주인(보통 이 주인은 신, 하느님으로 많이 해석된다)이 돌아 와서 그 종들과 셈을 하게 되는데, 5 달란트를 받은 사람은 5 달란트를 더 가지고 와
‘주인님, 주인께서 저에게 5 달란트를 맡기셨는데 보십시오, 5 달란트를 더 벌었습니다.’ 라고 말했다. 그러자 주인이 그에게 ‘참 잘했다. 너는 과연 착하고 충성스러운 종이다. 네가 작은 일에 충성을 다하였으니 이제 내가 큰 일을 너에게 맡기겠다. 자, 와서 네 주인과 함께 기쁨을 나누자’ 하고 칭찬했다.
그 다음 2 달란트를 받은 종도 와서 ‘주인님, 2 달란트를 저에게 맡기셨는데 보십시오, 2 달란트를 더 벌었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그리고 주인은 그에게도 ‘잘하였다. 너는 과연 착하고 충성스러운 종이다. 네가 작은 일에 충성을 다하였으니 이제 내가 큰 일을 너에게 맡기겠다. 자, 와서 네 주인과 함께 기쁨을 나누자’ 라고 말했다.
그런데 1 달란트를 받은 종은 ‘주인님, 저는 주인께서 심지 않은 데서 거두시고 뿌리지 않은 데서 모으시는 무서운 분이신 줄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두려운 나머지 저는 주인님의 돈을 안전하게 땅에 묻어두었습니다. 보십시오, 여기 그 돈이 그대로 있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그러자 주인은 그 종에게 크게 호통을 쳤다.
‘너야말로 악하고 게으른 종이다. 내가 심지 않은 데서 거두고 뿌리지 않은 데서 모으는 사람인 줄로 알고 있었다면 내 돈을 돈 쓸 사람에게 꾸어주었다가 내가 돌아올 때에 그 돈에 이자를 붙여서 돌려주어야 할 것이 아니냐?
여봐라, 저자에게서 1 달란트마저 빼앗아 10 달란트를 가진 사람에게 주어라. 누구든지 있는 사람은 더 받아 넉넉해지고 없는 사람은 있는 것마저 빼앗길 것이다. 그리고 이 쓸모 없는 종을 바깥 어두운 곳에 내쫓아라. 거기에서 가슴을 치며 통곡할 것이다’
이렇게 탈란트의 우화에서는 투자의 리스크를 두려워하여 투자를 회피하고 안전하게 재산을 지키기만 했던 종은 신의 노여움을 사서 신의 궁전에서 쫓겨납니다.
이 달란트의 우화에 대하여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각도로 해석을 합니다.
필자는 이 우화의 내용 중에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내용은 주인이 종의 능력을 헤아려 재산을 불균등하게 나누어 맡긴다는 점입니다.
즉, 가장 똑똑하고 능력 있는 종에게는 가장 많은 5 달란트를 맡기고 그 다음으로 능력 있는 종에게는 2 달란트 마지막으로 가장 무능하다고(?) 또는 소심하다고 판단한 종에게는 1달란트만 맡깁니다.
그리고 결과는 주인이 예상한대로 가장 능력 있는 종이 5 달란트를 벌었고 중간의 종은 2달란트를 벌었으나 가장 무능하다고 판단한 종은 원금 그대로 유지하는데 만족하고 말았습니다.
어떻게 보면 신은 이미 1달란트를 받은 종이 투자에 실패하거나 아예 투자를 하지 않을 것을 미리 예측하셨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신의 생각은 무엇이었을까요? 인간에게 무엇을 가르쳐 주시고 싶으셨을까요? 신의 뜻을 한낱 인간에 불과한 제가 어떻게 알겠습니까?
수 천년 동안 성경은 서양인들의 삶의 지침이었습니다.
대다수의 크리스천들은 이렇게 삶 깊숙이 어려서부터 투자를 통해 재산을 불리고 잘 운용하는 사람이 신의 은총을 더 받는다는 교육 속에서 살아왔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재산은 운용(투자)하는 것이며, 그냥 보유하는 것은 죄악이라고 까지 배우고 가르침을 받은 사람들이기에 서양인들의 머릿속에는 자연스럽게 재산 증식에 대한 노하우와 투자에 대한 기본 인식이 자리잡았다고 봅니다.
오늘날 미국과 유럽에서 금융이 발달하고 자본 활용과 운용에 대한 노하우가 앞서 있는 이유를 조금이나마 여기서 찾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이 우화를 통하여 신은 인간에게 투자에 대한 재능과 능력을 부여하였으나 불평등하게 부여하였고, 결국 인간에 따라 투자에 대한 능력과 재능의 차이가 있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투자에 대한 리스크를 다시금 생각해 보게 한다는 점,
또한 투자를 통한 가치 창출에 실패한 종을 궁전에서 쫓아낼 뿐만 아니라 보유한 달란트 마저 빼앗아 가장 수익이 좋은 종에게 얹어 줄 정도로 냉혹한 신의 뜻은 투자 수익을 통한 가치 창출에 높은 의미를 부여 했다는 점을 깨닫게 됩니다.
이렇게 신의 기준은 투자를 하지 않고 지키기만 하는 것은 투자 해서 손실 본 것보다 더 나쁘다는 인식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결국 이러한 투자에 대한 기본 자세는 은연중 유럽인의 삶에 녹아 들어 투자를 하기까지의 철저한 분석과 노력을 아끼지 않는 삶을 살아왔다고 본다.
많은 이스라엘 젊은이들은 25세 생일에 인척을 비롯한 사람들이 모아주는 약 5만달러 정도의 시드머니를 받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자금으로 젊어서부터 철저하게 자기 삶에 대한 투자를 스스로 분석하고 집행하면서 인생의 밑바탕을 만들어 갑니다.
그러다 보니 이스라엘 사람들은 아무리 작은 자금이라도 투자를 하기 전 최소한 2~3개월간 투자 대상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치밀한 검토를 하기로 유명하다고 합니다.
그 반면, 한반도 5천년 역사를 볼 때, 왕조시대에 양반, 상놈으로 구분되어 일반 서민이 투자 할 종자 자금도 모아본 적이 없으며, 투자에 대한 경험 역시 거의 전무하며, 투자 교육은 아예 받은 기록조차 없다 보니 우리에게 투자만큼 어려운 분야는 없다고 봅니다.
최근 아무런 검토도 없이 주위 사람들이 권하는 대로 또 다단계 사람들이 펼쳐놓은 달콤하고 기막힌 대박 환상에 빠져 암호화폐에 투자 해온 우리나라 투자자들의 의식 구조는 아무리 역사적으로 우리 민족이 투자에 대하여 제대로 배운바가 없다고하도라도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엉망입니다.
필자는 지금껏 암호화폐 투자자들 중에 크게 손실을 본 사람들을 몇몇 만났습니다만, 투자 전에 해당 기업 방문은 물론 철저한 분석과 대표자까지 만나 확인하고 최소한 사업 모델의 성공 가능성 정도를 검토하고 더 나아가 주변 투자자들과 토론을 통한 의견 수렴을 거쳐 투자를 했다는 사람을 본적이 없습니다.
이게 우리나라의 평범한 투자자 의식 수준입니다.
따라서 정부는 투자자를 보호하면 절대로 안된다고 봅니다.
물론 정부는 투자자를 보호해준 적이 한번도 없습니다. (예금자 보호는 다릅니다)
그러나 툭하면 정부 고위 관리가 내 뱉는 ‘투자자 보호’라는 말 한마디가 국민들로 하여금 투자가 잘못되더라도 국가가 보호해 주겠지 하는 잘못된 인식을 갖게 만듭니다.
따라서 정부는 ‘투자자 보호’라는 말을 아예 법을 만들어서라도 관료들에게 금지시켜야 할 것이며, ‘금융 투자 교육원’이라도 설립해서 전 국민의 투자 교육에 나서야 할 것입니다.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의 정부예산 최 우선 투자 순위는 ‘금융 투자 교육’입니다.
신근영 한경닷컴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