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유자산 정리가 필요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보유자산의 정리가 필요하다
최근 모 금융기관에서 발표한 ‘대한민국 부자보고서’가 많이 회자되고 있다.
대한민국 부자들의 현재의 모습과 그들이 투자한 종류나 보유자산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중에 대한민국 부자들의 보유자산 구조 부분의 내용을 잠깐 살펴보면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한국 부자들의 총 자산에 대한 구성비는 부동산자산(주택,건물,상가,토지 등)이 52.2%,금융자산 44.2%,기타자산(예술품,회원권 등) 3.6%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동산 비중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내 가계의 평균 자산 구성은 금융자산 비중이 26.0%,거주 주택을 포함한 부동산 자산비중이 69.2%에 달할 만큼 부동산 자산에 치우친 구조를 가지고 있고 그나마 부자들이 일반 가구보다 금융자산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이후 부자의 금융자산 비중은 증가하고 부동산 자산 비중은 감소하는 추세가 지속되었으나,2017년도에는 금융자산 뿐만 아니라 부동산 자산의 비중도 동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인들에게 이 데이터를 보여주면서 수긍을 하느냐고 물어보면 아마 현실과 괴리가 있다고 많이 얘기한다.
즉 일반인들이 느끼는 부동산 자산의 보유 비중이 훨씬 높기 때문이다.
전체 자산중에서 부동산 자산의 비중이 70%가 안 된다는 부분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 부분이다.
그만큼 대한민국 국민들의 자산은 부동산에서 시작해서 부동산으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최근 정부에서 막강한 부동산 시장 안정정책을 내놨다.
이 정책으로 인해서 작년부터 올해 초까지 무리하게 대출을 받거나 전세를 안고 부동산에 투자한 투자자들의 경우에는 밤에 잠이 오지 않을 정도로 자산의 묶임 현상이 발생할 것이고 가격하락 내지는 애물단지화 될 가능성도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정책을 계기로 대대적인 자산보유 비중에 대한 조절이 필요할 것이고 적어도 금융(확정형 금융상품,투자상품 및 채권,주식 투자 등)에 대한 관심과 투자의 비중을 늘려나가면서 환금성을 확보하면서 수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취하는 전략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보유 자산에 대한 부동산 집중화는 늘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구조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었는데 최근에 점점 심화되면서 평생 모은 재산이 까딱하면 장기간 매도도 되지 않고 묶이거나 손해를 보면서 급매로 팔아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필자가 항상 강조하는 부분이지만 일단 할 거는 하고 재테크를 시작하는 것이 좋겠고 적어도 가족 명의의 1인당 연금하나씩과 실비보험 하나씩 그리고 CMA와 MMF나 청약통장은 반드시 가입해서 활용해야 하겠다.
이러한 상품들은 재테크가 아니라 그냥 반드시 가입하고 가지고 있어야 하는 상품들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조금이라도 공격적인 성향의 사람이라면 국내주식형 펀드나 원자재나 해외주식형 펀드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겠고 안정적인 성향의 사람이라면 새마을금고나 저축은행의 약간은 높은 금리나 절세상품을 활용하는 전략을 세우고 실천하면 되겠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맞서서 굳이 포화를 맞기보다는 잠시 쉬어가는 마음으로 내실을 다지고 공부하고 재테크나 투자의 체력을 키우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어떨까 싶다.
가뜩이나 북한의 핵문제로 중국과 미국의 힘겨루기 상황에 대치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는 금융과 주식,원자재 투자쪽에 훨씬 좋은 기회가 많다는 점을 잊지말도록 하자.
최근 모 금융기관에서 발표한 ‘대한민국 부자보고서’가 많이 회자되고 있다.
대한민국 부자들의 현재의 모습과 그들이 투자한 종류나 보유자산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중에 대한민국 부자들의 보유자산 구조 부분의 내용을 잠깐 살펴보면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한국 부자들의 총 자산에 대한 구성비는 부동산자산(주택,건물,상가,토지 등)이 52.2%,금융자산 44.2%,기타자산(예술품,회원권 등) 3.6%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동산 비중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내 가계의 평균 자산 구성은 금융자산 비중이 26.0%,거주 주택을 포함한 부동산 자산비중이 69.2%에 달할 만큼 부동산 자산에 치우친 구조를 가지고 있고 그나마 부자들이 일반 가구보다 금융자산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이후 부자의 금융자산 비중은 증가하고 부동산 자산 비중은 감소하는 추세가 지속되었으나,2017년도에는 금융자산 뿐만 아니라 부동산 자산의 비중도 동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인들에게 이 데이터를 보여주면서 수긍을 하느냐고 물어보면 아마 현실과 괴리가 있다고 많이 얘기한다.
즉 일반인들이 느끼는 부동산 자산의 보유 비중이 훨씬 높기 때문이다.
전체 자산중에서 부동산 자산의 비중이 70%가 안 된다는 부분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 부분이다.
그만큼 대한민국 국민들의 자산은 부동산에서 시작해서 부동산으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최근 정부에서 막강한 부동산 시장 안정정책을 내놨다.
이 정책으로 인해서 작년부터 올해 초까지 무리하게 대출을 받거나 전세를 안고 부동산에 투자한 투자자들의 경우에는 밤에 잠이 오지 않을 정도로 자산의 묶임 현상이 발생할 것이고 가격하락 내지는 애물단지화 될 가능성도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정책을 계기로 대대적인 자산보유 비중에 대한 조절이 필요할 것이고 적어도 금융(확정형 금융상품,투자상품 및 채권,주식 투자 등)에 대한 관심과 투자의 비중을 늘려나가면서 환금성을 확보하면서 수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취하는 전략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보유 자산에 대한 부동산 집중화는 늘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구조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었는데 최근에 점점 심화되면서 평생 모은 재산이 까딱하면 장기간 매도도 되지 않고 묶이거나 손해를 보면서 급매로 팔아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필자가 항상 강조하는 부분이지만 일단 할 거는 하고 재테크를 시작하는 것이 좋겠고 적어도 가족 명의의 1인당 연금하나씩과 실비보험 하나씩 그리고 CMA와 MMF나 청약통장은 반드시 가입해서 활용해야 하겠다.
이러한 상품들은 재테크가 아니라 그냥 반드시 가입하고 가지고 있어야 하는 상품들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조금이라도 공격적인 성향의 사람이라면 국내주식형 펀드나 원자재나 해외주식형 펀드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겠고 안정적인 성향의 사람이라면 새마을금고나 저축은행의 약간은 높은 금리나 절세상품을 활용하는 전략을 세우고 실천하면 되겠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맞서서 굳이 포화를 맞기보다는 잠시 쉬어가는 마음으로 내실을 다지고 공부하고 재테크나 투자의 체력을 키우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어떨까 싶다.
가뜩이나 북한의 핵문제로 중국과 미국의 힘겨루기 상황에 대치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는 금융과 주식,원자재 투자쪽에 훨씬 좋은 기회가 많다는 점을 잊지말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