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틀랜타 총격범 `성 중독` 주장에…"의학적 인정 안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총격 사건의 용의자의 범행 원인 중 하나로 `성 중독`이 시사된 데 대해 의학적 질환으로 인정되지 않는 개념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19일(현지시간) CNN 방송은 애틀랜타 일원 마사지숍에서 일어난 연쇄 총격 사건으로 논란이 되는 성 중독 개념이 다시 표면화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성 중독이란 용어가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살해범들이 이를 범죄의 동기로 주장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지만 성 중독은 인정되지 않는 정신질환적 진단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애틀랜타 경찰과 시는 총격 사건의 용의자 로버트 에런 롱(21)와 관련한 기자회견을 하면서 롱이 스스로에 대해 성 중독 가능성을 포함해 몇 가지 문제를 갖고 있다고 진술했다고 전했다.
컬럼비아대학 지브 코언 정신의학 조교수는 중독 여부를 판정하는 황금률은 어떤 약물이나 행동, 활동이 특정한 뇌의 수용체를 자극해 반응을 일으키느냐에 따른 것으로, 성·음란물 중독자로 판정된 사람에게서는 대체로 발견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런 까닭에 의료 전문가들이 정신장애를 진단할 때 권위 있는 지침으로 삼는 미국정신의학협회(APA)의 `진단·통계적 정신장애 매뉴얼`에 성 중독을 넣으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거부당했다.
컬럼비아대학의 정신의학 교수 폴 애펄바움은 "중독의 증상에는 행동 통제의 어려움이나 사회적 장애, 자신에게 뚜렷한 신체적 위험을 야기하는데도 지속해서 위험하게 사용하는 것, 약물의 경우 내성과 금단 증상의 발현 등이 포함된다"고 말했다. 이런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성 중독을 중독으로 분류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코언 교수는 "만약 성 중독이라고 불리는 게 있다고 하면 실제론 그게 없는 많은 사람이 자신의 성생활, 성 충동이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시작할 것이란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건강한 성 충동과 건강하지 않은 성 충동 사이에 명확한 선을 긋는 것도 어려운 일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CNN은 성 중독이 임상학적으로 타당성을 인정받지 못하는 것이 성과 관련돼 문제를 겪는 사람이 없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사진=워싱턴포스트 영상 캡쳐)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9일(현지시간) CNN 방송은 애틀랜타 일원 마사지숍에서 일어난 연쇄 총격 사건으로 논란이 되는 성 중독 개념이 다시 표면화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성 중독이란 용어가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살해범들이 이를 범죄의 동기로 주장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지만 성 중독은 인정되지 않는 정신질환적 진단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애틀랜타 경찰과 시는 총격 사건의 용의자 로버트 에런 롱(21)와 관련한 기자회견을 하면서 롱이 스스로에 대해 성 중독 가능성을 포함해 몇 가지 문제를 갖고 있다고 진술했다고 전했다.
컬럼비아대학 지브 코언 정신의학 조교수는 중독 여부를 판정하는 황금률은 어떤 약물이나 행동, 활동이 특정한 뇌의 수용체를 자극해 반응을 일으키느냐에 따른 것으로, 성·음란물 중독자로 판정된 사람에게서는 대체로 발견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런 까닭에 의료 전문가들이 정신장애를 진단할 때 권위 있는 지침으로 삼는 미국정신의학협회(APA)의 `진단·통계적 정신장애 매뉴얼`에 성 중독을 넣으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거부당했다.
컬럼비아대학의 정신의학 교수 폴 애펄바움은 "중독의 증상에는 행동 통제의 어려움이나 사회적 장애, 자신에게 뚜렷한 신체적 위험을 야기하는데도 지속해서 위험하게 사용하는 것, 약물의 경우 내성과 금단 증상의 발현 등이 포함된다"고 말했다. 이런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성 중독을 중독으로 분류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코언 교수는 "만약 성 중독이라고 불리는 게 있다고 하면 실제론 그게 없는 많은 사람이 자신의 성생활, 성 충동이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시작할 것이란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건강한 성 충동과 건강하지 않은 성 충동 사이에 명확한 선을 긋는 것도 어려운 일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CNN은 성 중독이 임상학적으로 타당성을 인정받지 못하는 것이 성과 관련돼 문제를 겪는 사람이 없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사진=워싱턴포스트 영상 캡쳐)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