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양곤서만 59명 사망"…밍잔, 마궤 등서 또 실탄 발포
미얀마 모바일 인터넷 차단·계엄지역 추가…또 6명 사망(종합)
미얀마 군부 쿠데타 이후 양곤에서만 59명이 숨지는 최악의 유혈 참사가 발생한 다음 날인 15일에도 군경의 무차별 총격으로 6명이 숨지는 등 유혈 진입이 이어졌다.

미얀마 모바일 인터넷 차단·계엄지역 추가…또 6명 사망(종합)
로이터통신과 AFP통신에 따르면 이날 군경의 발포로 시위대 최소 6명이 목숨을 잃었다.

미얀마 중부도시 밍잔에서는 여성 한 명을 포함해 시위대 3명이 총에 맞아 숨졌다.

한 주민은 "군경이 총을 쏴 사망자가 발생했고, 부상자들을 길거리에서 구출해야 했다"고 전했다.

트위터에는 밍잔에서 이날 총격으로 숨진 여성이 늘 시위대 선봉에 서던 '용감한 시민'이라며 생전 사진과 사망 사진이 함께 올라왔다.

또 다른 도시 마궤에서도 목격자들이 "시위 현장에서 남성 두 명이 숨졌다.

한 명은 가슴에, 다른 한 명은 머리에 총을 맞고 사망했다"고 증언했다.

만달레이에서 언론인 한 명이 목숨을 잃었다는 소식도 잇따랐다.

이밖에 SNS에는 발코니에 서 있다가 실탄을 맞은 여성의 사진, 한 청년이 총상으로 병상에서 마지막 숨을 거두는 순간에도 저항의 상징인 '세 손가락 경례'를 하는 사진 등도 올라왔다.

미얀마 모바일 인터넷 차단·계엄지역 추가…또 6명 사망(종합)
현지 매체인 미얀마 나우는 양곤 종합병원과 흘라잉타야 병원, 띤간준 병원 3곳의 지료를 취합한 결과, 일요일인 전날 하루에만 양곤에서 최소 59명이 사망하고 129명이 다쳤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실제 사상자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했다.

미얀마 모바일 인터넷 차단·계엄지역 추가…또 6명 사망(종합)
현지 언론 및 SNS 그리고 외신 등에 따르면 미얀마에서는 이날 오전부터 휴대전화 인터넷(모바일 인터넷)이 끊겼다.

네트워크 모니터링 업체인 '넷블록스'는 트위터를 통해 "모바일 네트워크가 미얀마 전국적으로 차단됐다"면서 "대부분의 사용자는 일상 생활과 시위에서 휴대전화에 의존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곤의 한 교민도 연합뉴스에 보낸 SNS 메시지를 통해 "모바일 인터넷이 이미 끊겼다.

인터넷 전용선만 겨우 작동되고 있다"면서 "이마저도 곧 끊길지 모른다"고 우려했다.

앞서 미얀마 현지에서는 인터넷 접속이 무기한 차단될 것이라는 이야기도 SNS에서 흘러나왔다.

군정의 휴대전화 인터넷 차단 조치는 유혈진압과 각종 폭력을 시민들이 휴대전화로 촬영한 뒤 이를 모바일 데이터를 사용해 휴대전화 상에서 각종 SNS에 올리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시민들이 휴대전화를 통해 올린 동영상은 미얀마의 현 상황을 국제사회에 가장 잘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인터넷이 끊기면서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에 대한 법원 화상 심리도 오는 24일로 연기됐다.

미얀마 모바일 인터넷 차단·계엄지역 추가…또 6명 사망(종합)
군정은 이날 양곤 4곳에 대해 추가로 계엄령을 선포했다고 외신이 전했다.

관영매체인 MRTV는 북다곤과 남다곤, 다곤세이칸 그리고 북오깔라빠에 대해 계엄령이 선포됐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은 또 제2도시 만달레이 일부 지역도 계엄령이 내려졌다고 보도했다.

군부는 앞서 전날엔 양곤 내 흘라잉타야와 쉐삐따 등 인구 밀집지역 2곳에 계엄령을 선포했다.

계엄령이 내려진 6곳은 양곤에서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지역으로 알려졌다.

주미얀마 한국대사관은 긴급 공지문을 통해 "계엄령이 선포된 지역에서는 치안 유지에 필요한 경우 군이 매우 강력한 조치를 현장에서 취할 것으로 우려된다"며 안전에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미얀마 모바일 인터넷 차단·계엄지역 추가…또 6명 사망(종합)
대사관은 또 "최근 시위대 및 SNS상에 특정국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고조되면서 오인 피해를 볼 가능성도 우려된다"며 "부득이 외출할 경우에는 가급적 한국인임을 증명할 수 있는 신분증을 소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사관측은 "오는 27일 국군의 날까지 치안을 정상화하기 위한 강력한 조치가 계속될 것으로 우려된다"며 덧붙였다.

이와 관련, 주미얀마 한인회는 흘라잉타야에 진출한 한국 봉제업체들이 중국 업체로 오인당해 피해를 보지 않도록 태극기 50장 가량을 이날 배포했다고 이병수 한인회장이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밝혔다.

한인회는 추가로 태극기를 더 확보해 한국 업체들에 배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치는 전날 흘라앙타야에서 중국인이 운영하는 다수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중국인 직원들도 다치는 피해가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미얀마 주재 중국대사관은 집계 결과 중국계 공장 32곳이 정체를 알 수 없는 사람들의 공격을 받아 2억4천만 위안(약 420억원) 이상 피해가 발생했고 중국인 직원 두 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