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인증서 통합으로 1위 굳히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카카오페이와 제휴처 공유
3곳서 200곳으로 확대
3곳서 200곳으로 확대
카카오가 민간 인증서 시장에서 굳히기에 들어갔다. 따로 운영하고 있던 카카오 인증서와 카카오페이 인증서 제휴처를 공유한다. 두 회사는 이번 제휴처 공유를 시작으로 인증서 서비스 통합을 진행할 전망이다.
11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와 자회사 카카오페이가 각 사 인증서 서비스 제휴처를 공유한다. 현재 두 회사는 각각 서비스를 운영하며 따로 제휴처를 두고 있다. IT 업계 관계자는 “두 회사의 제휴처 공유 계약이 막바지에 이르렀다”며 “제휴처를 공유받게 되는 카카오가 카카오페이에 수익을 배분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이번 계약으로 약점으로 꼽혀왔던 적은 수의 제휴처 숫자를 늘릴 수 있게 됐다. 현재 카카오 인증서는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정부24 연말정산용 주민등록등본 발급서비스, 국민권익위원회 국민신문고 등 3곳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카카오페이 인증서 제휴처는 200곳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인증서 시장에서 카카오는 더욱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됐다. 카카오 인증서는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과 연계된 덕분에 이용자 수가 700만 명에 달한다. 경쟁자 네이버 인증서의 이용자(400만 명)를 훌쩍 넘는 규모다. 국세청 연말정산서비스에서도 카카오 인증서를 통해 본인 인증을 진행한 건수는 586만 건에 달해 민간 인증서 중 이용자가 가장 많았다.
IT 업계 관계자는 “카카오가 연말정산 등 빅 이벤트를 통해 이용자를 급격히 늘렸지만 제휴처가 적어 장기적으로는 서비스를 키우는 데 한계가 있었다”며 “제휴처 확장으로 승부에 쐐기를 박은 셈”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선 이번 제휴처 공유를 시작으로 카카오 인증서와 카카오페이 인증서가 통합하는 수순으로 들어섰다는 해석이 나온다. 카카오 인증서 기반 카카오 지갑은 실물 지갑을 대체하고 인증, 결제, 투자 등 다양한 디지털 경제활동을 지원한다는 개념으로 지난해 12월 출시됐다. 증권거래 등 카카오페이 인증서가 맡고 있는 역할과도 겹친다. 상호 시너지를 내는 방향으로 두 서비스가 통합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는 이유다.
다만 카카오페이가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있어 당분간 완전 통합은 없을 전망이다. IT 업계 관계자는 “카카오페이의 핵심 서비스인 인증서를 떼어주면 기업 가치 산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통합을 서두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민기/김리안 기자 kook@hankyung.com
11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와 자회사 카카오페이가 각 사 인증서 서비스 제휴처를 공유한다. 현재 두 회사는 각각 서비스를 운영하며 따로 제휴처를 두고 있다. IT 업계 관계자는 “두 회사의 제휴처 공유 계약이 막바지에 이르렀다”며 “제휴처를 공유받게 되는 카카오가 카카오페이에 수익을 배분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이번 계약으로 약점으로 꼽혀왔던 적은 수의 제휴처 숫자를 늘릴 수 있게 됐다. 현재 카카오 인증서는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정부24 연말정산용 주민등록등본 발급서비스, 국민권익위원회 국민신문고 등 3곳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카카오페이 인증서 제휴처는 200곳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인증서 시장에서 카카오는 더욱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됐다. 카카오 인증서는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과 연계된 덕분에 이용자 수가 700만 명에 달한다. 경쟁자 네이버 인증서의 이용자(400만 명)를 훌쩍 넘는 규모다. 국세청 연말정산서비스에서도 카카오 인증서를 통해 본인 인증을 진행한 건수는 586만 건에 달해 민간 인증서 중 이용자가 가장 많았다.
IT 업계 관계자는 “카카오가 연말정산 등 빅 이벤트를 통해 이용자를 급격히 늘렸지만 제휴처가 적어 장기적으로는 서비스를 키우는 데 한계가 있었다”며 “제휴처 확장으로 승부에 쐐기를 박은 셈”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선 이번 제휴처 공유를 시작으로 카카오 인증서와 카카오페이 인증서가 통합하는 수순으로 들어섰다는 해석이 나온다. 카카오 인증서 기반 카카오 지갑은 실물 지갑을 대체하고 인증, 결제, 투자 등 다양한 디지털 경제활동을 지원한다는 개념으로 지난해 12월 출시됐다. 증권거래 등 카카오페이 인증서가 맡고 있는 역할과도 겹친다. 상호 시너지를 내는 방향으로 두 서비스가 통합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는 이유다.
다만 카카오페이가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있어 당분간 완전 통합은 없을 전망이다. IT 업계 관계자는 “카카오페이의 핵심 서비스인 인증서를 떼어주면 기업 가치 산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통합을 서두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민기/김리안 기자 k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