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0일(현지시간) "쿠팡의 1주당 공모가가 35달러로 확정됐다"며 공모가를 기준으로 한 쿠팡의 기업가치가 630억달러(약 71조8천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했다.
WSJ 전망대로라면 전날 기준으로 네이버(61조1천억원)나 카카오(40조원)의 시가총액보다 많은 것은 물론 이마트(4조9천억원), 롯데쇼핑(3조5천억원), BGF리테일(2조9천억원), GS리테일(2조8천억원) 등 주요 유통업체의 시총을 모두 더한 것을 훌쩍 뛰어넘는 수준이다.
이를 두고 이커머스 업계에서는 해외에서 한국 온라인 쇼핑 시장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가 이뤄졌다고 해석하는 시각도 있다.
한 온라인쇼핑몰 관계자는 "국내 온라인 쇼핑의 가치를 미국에서 평가해준 것 같다"면서 "유니콘 기업이 다음 단계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는 점에서 이런 평가는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현재 쿠팡의 재무구조를 고려할 때 이번 가치 평가는 다소 '과도하다'는 시각도 있다.
쿠팡은 누적적자가 41억달러(약 4조6천700억원)에 달한다.
연간 적자 규모는 2018년 1조1천276억원을 정점으로 줄어드는 추세지만 여전히 수천억원대를 기록 중이다.
쿠팡의 경쟁력으로 꼽히는 '로켓배송'은 이미 상당수 경쟁업체가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다 경쟁사들이 서로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제휴에 나서는 등 시장 상황이 쿠팡에 우호적이지 못한 것도 '오버밸류'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배경 중 하나다.
이커머스 업계 관계자는 "미국에서는 쿠팡의 현재보다는 앞으로의 성장성을 보는 것 같다"면서 "해외 진출 가능성까지 보고 평가한 것 같다"고 말했다.
쿠팡 상장을 계기로 현재 매각 절차를 밟고 있는 이베이코리아의 가치가 재평가받을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이커머스업계에서는 5조원 안팎으로 추정되는 이베이코리아의 매각 희망가를 두고 다소 높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베이코리아의 지난해 거래액이 쿠팡과 비슷한 20조원 규모이고 이베이코리아 인수하는 쪽은 시장 강자인 네이버나 쿠팡과 겨룰 수 있는 규모의 경제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베이코리아의 몸값이 높아질 것이란 시각이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