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역할이 다르다는 생각은 일반 남편보다 강해

이주여성을 아내로 삼은 남성은 자녀 양육과 가사 노동에서 일반 남편보다 더 협조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하지만 남편과 아내의 역할이 각각 다르다는 성 역할 인식은 일반인 남편보다 조금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 남편이 가사와 양육 더 열심히 한다"
이화여대 김석영 석사(유엔개발계획·UNDP 근무)는 28일 한국문화사회학회 학회지 '문화 사회' 최신호에 게재한 '결혼 이주와 이주 수원국의 성 역할 태도 : 다문화 가족과 비 다문화 가족 한국인 남편의 성 역할 태도 비교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이런 분석을 내놓았다.

김 씨는 2015년의 가족 실태 조사 가운데 다문화 가정 부부 2천998쌍과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자료 가운데 다문화 가정 1만1천744쌍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를 분석했다.

김 씨는 '아버지도 어머니와 똑같이 자녀를 돌볼 책임이 있다'는 문항과 '맞벌이 부부는 집안일도 똑같이 나눠야 해야 한다', '남자가 할 일은 돈을 버는 것이고 여자가 할 일은 가정을 돌보는 것이다'는 3개의 질문 답변을 1∼5점으로 매겨 5점에 가까울수록 성평등적으로 배치했다.

그 결과 다문화 남편의 양육 답변은 평균 4.25점, 일반 가정 남편은 3.96점으로, 가사 노동에서도 다문화 남편은 3.6점, 일반 남편은 3.52점으로 각각 나타났다.

남편과 아내의 역할이 각각 다르다는 문항에는 일반 가정 남편은 '아니다 '는 쪽에 가까운 3.09점으로, 다문화 가정 남편은 '그렇다'는 쪽으로 기운 2.95점으로 각각 나타났다.

김 씨는 "남편이 생계를 책임지고, 아내는 가정을 돌보는 식으로 성역할이 정해져 있다는 '가부장적' 생각이 일반 가정 남편보다 다문화 가정 남편에 더 퍼져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풀이했다.

다문화 가정 남편이 자녀 양육과 가사 노동에서 '가부장적인 태도'가 덜한 것은 외국인 아내가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미숙해 남편이 '엄마' 역할을 맡아 돌봄의 주체가 되기도 한다는 다른 논문을 인용해 그 이유를 추정했다.

나아가 중국이나 태국 등의 경우 성역할 인식이 한국보다 높게 나왔고 필리핀도 한국과 비슷한 수준(2014년 세계 가치 조사ㆍWorld Value Survey 기준)이라는 점도 이런 태도를 보인 이유라고 김씨는 배경을 설명했다.

즉, 결혼 이주 여성의 출신국의 성역할 인식이 한국보다 더 앞서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필리핀 출신 여성이 홍콩이나 일본의 가부장적 사회 태도 변화를 이끌었고 아이티 여성들도 미국의 가부장적 태도에 '도전'을 야기했다는 여러 논문 조사 결과들을 인용하며 "한국의 다문화 사회로 움직임에서 성역할 변화에 시사점을 준다"고 분석했다.

김 씨는 "연구 결과 다문화 가정의 남편들이 일반인 생각과 달리 가부장적인 것은 아니었다"면서 "다문화 가정 남편을 가부장적이라고 단정하는 데 신중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주여성이라는 점과 가사와 양육에서 남편의 태도 변화 사이에 상관관계는 있지만, 인과관계가 성립하는 지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김씨는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