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회 소부장 기술특위 의결…소재 연구에 AI·데이터 활용

정부가 앞으로 10년 이상 중장기적 관점에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부문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소재 연구개발(R&D)에 집중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5일 제9회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소재 연구개발(R&D) 투자 혁신 전략(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에 앞서 일본 수출규제 등 전 세계 보호무역주의 흐름에 대비해 소부장 기술특위를 꾸렸다.

이를 통해 소부장 관련 전략 R&D와 기술자립 R&D를 추진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글로벌 공급망(GVC)이 재편되자 미래 공급망을 선점하기 위해 소부장 R&D 투자 전략을 다각화하기도 했다.

이번 소부장 기술특위에는 중장기적 관점의 소부장 투자 혁신전략과 연구가 중단되지 않도록 연구 생태계 구축을 강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10년뒤 대비 소부장 R&D 투자전략 마련…핵심소재 개발 추진
◇ 희소 원소 필요없는 소재, 핵심 유망소재 개발
우선 과학·산업적으로 파급력이 큰 핵심 원천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희소 원소 없이도 소재를 개발할 수 있도록 맞춤형 기술개발 전략을 도출한다.

희토류 등 희소 원소는 첨단 산업 소재에 광범위하게 활용되지만 전 세계적으로 매장량이 극히 적어 공급에 한계가 있다.

이에 희소 원소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거나 희소 원소를 대체하는 방법으로 소재를 개발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존 소재 물성 한계와 응용 분야를 뛰어넘는 유망 소재도 장기적으로 개발한다.

모빌리티, 디지털 혁신, 에너지·환경, 바이오·헬스 등 주요 4대 분야의 한계 돌파형 소재 기술을 개발해 경쟁력도 확보한다.

◇ 데이터·AI 활용 연구 생태계 구축·소재 정책 제언 싱크탱크 설치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데이터 기반 소재 연구 혁신허브'를 구축하고 AI·데이터·로봇공학 등을 융합한 '지능형 재료 실험실'을 세워 소재 개발 시행착오를 줄인다.

정해진 R&D 기간이 끝나도 연구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동일 주제로 장기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갱신형 제도도 도입한다.

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공공연구기관을 거점으로 소재 R&D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들의 인프라도 공동 활용한다.

아울러 국내외 소재 관련 기술과 정책 동향을 분석하고 정책 제언을 할 수 있는 싱크탱크 '국가기술전략센터(NCTS·가칭)'도 설치한다.

국가기술전략센터는 소재 분야 핵심 출연연을 중심으로 꾸린다.

정부는 이번 투자 전략을 '2022년도 국가 연구개발 투자 방향 및 기준(안)'과 내년 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다.

이날 특위에서는 미래 신산업 창출을 위한 '소재·부품·장비 미래선도품목 R&D 전략(안)'도 비공개로 논의했다.

김상식 기술특위 민간위원장은 "이번 전략을 바탕으로 소재 기술 분야에서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소부장 R&D 성과 창출 기반을 강화하고 협력·축적의 연구 생태계 활성화를 통해 미래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10년뒤 대비 소부장 R&D 투자전략 마련…핵심소재 개발 추진
/연합뉴스